고창 문수사 목조 지장보살 좌상 및 시왕상 일괄 ( )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문수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상.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문수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상.
개설

201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문수사 명부전에 봉안된 조선시대 17세기의 목조 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이다. 지장보살상은 같은 명부전에 봉안된 평등대왕상의 복장발원문을 통해 당대 조각계에서 한 계보를 이루었던 조각승 무염(無染)의 제자인 해심(海心)이 1653년(효종 4)에 조성하였던 사실이 확인되었다.

내용

지장보살상은 안정감 있는 신체의 비례와 양감, 방형에 가까우면서도 부분적으로 양감을 강조한 안면처리, 도식적이지만 전체적으로 율동적인 옷주름의 처리 등은 무염파 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시왕상은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시왕상 중에서 연대도 비교적 이르고, 제작자도 알려진 귀중한 연구자료이다. 장신의 신체와 장쾌한 비례, 엄격하면서도 활달한 운동감, 그리고 정교한 목조각 기법에 이르기까지 잘 갖추어진 조각상들이다. 안면 처리에서는 각각의 왕이 개성을 드러내고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해심의 조각양식이 잘 드러나 있다. 특기할 것은 일반적인 시왕상에 포함되는 면류관을 착용한 염라대왕이나 투구를 착용한 오도전륜대왕의 도상과 달리 여기서는 모든 시왕이 통천관을 착용하고, 진광대왕만 원류관을 착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모두 조복(朝服)을 착용하였는데, 채색이 다양하고, 태산대왕이나 도시대왕은 군의(裙衣) 아래로 장화의 모습이 화려하게 드러나 있다.

특징

지장보살상은 신체 비례와 양감, 양감을 강조한 안면처리, 율동적인 옷주름의 처리 등 무염파 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한편, 시왕상은 모든 시왕이 통천관을 착용하고, 진광대왕만 원류관을 착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시왕상과 차이가 있다.

의의와 평가

이들 작품은 무염파의 계보를 이은 해심의 불 · 보살 조각양식을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왕상의 조각양식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시왕상은 우리나라 시왕상 도상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많은 자료를 제공해준다.

참고문헌

「17세기 조선왕조의 조각승과 불상」(송은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조선시대 불교조각사론」(문명대, 『한국의 불상조각』4, 예경, 2003)
집필자
주수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