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립리 석불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남원 과립리 석불입상
남원 과립리 석불입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입상.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입상.
내용

과립리 석불입상은 시무외(施無畏)와 여원인(與願印)을 결했을 것으로 보이는 통견(通肩)의 대형 불입상으로서 전북지역 최대규모에 속하는 원각상(圓刻像)이다. 불신(佛身)에 비해 불두(佛頭)의 비례가 크고 얼굴의 윤곽은 방형에 가까워 묵중한 느낌을 더욱 강하게 준다. 높이 솟은 육계는 2단으로 되어 특이하며, 머리카락은 표현되지 않은 소발(素髮) 형식이다. 눈은 가늘게 뜨고 있으며, 코와 입술의 윤곽선은 또렷하다. 콧등은 일부 파손되었다. 목은 짧으면서도 넓게 어깨로 이어지며 통견의 가사 사이로 드러난 넓은 가슴의 가슴골은 양감을 살리며 은은하게 표현되었다. 오른쪽 어깨에서 시작해서 가슴 아래로 흘러 왼쪽 어깨로 넘어가는 가사는 얕은 계단식 옷주름이 ‘U’자형으로 허리까지 내려오다가 그 아래부터는 양 허벅지에 각각 밀착해서 흘러내리는 우전왕상식(憂塡王像式) 착의법을 보인다. 상체의 옷 주름에서 가운데 흐르는 것과 허리를 지나는 맨 아래 옷 주름은 다른 것과 달리 더 굵고 별도로 돌출되어 있어 변화를 주고 있다. 하체로 흘러내리는 옷 주름은 허벅지에 밀착된 듯 허벅지 바깥쪽으로는 표현되지 않았고, 좌우 다리로 각각 흘러내리던 옷자락은 정강이 중간 아래에서 다시 만나 ‘U’자형의 옷 주름을 형성하였다. 오른손은 배 높이로, 왼손은 허리 높이로 들고 있는데 손목 이하는 별도로 만들어 붙였던 듯 현재 둥근 접합구멍만 남아 있다. 양손의 소매에서 흘러내린 옷자락은 대체로 신체의 옆면을 따라 흐르면서 불신의 잘록한 허리선을 강조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가지런히 앞으로 향한 두 발아래로 촉을 달아서 대좌 상단에 뚫린 구멍에 삽입하였다. 대좌에는 연밥 모양의 둥글면서 넓적한 받침이 낮게 조각되어 있는데, 그 윗면에는 불상 하단의 촉을 고정하는 구멍이 뚫려 있다. 상대 아래로는 복엽의 복련이 높게 조각된 하대석이 마련되어 있다.

특징

이 석불입상은 통일신라시대의 시무외 · 여원인 불입상 전통을 이어받았으나, 신체가 기둥처럼 경직되면서 괴량감이 있는 기념비적 성격을 강조하는 고려 전기 거불(巨佛) 조각의 특징을 보인다. 같은 남원지역의 만복사지 석불입상이나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마애불입상과 유사한 맥락을 지니면서도 근엄하고 육중한 표현과 도식화된 표현이 강조된 불상이다.

현황

현재 불상이 서 있는 곳은 조선 정종 때 세워졌다가 임진왜란 때 불탔다고 하는 절터이며, 발견 당시에는 머리와 몸체가 절단되고 대좌가 분리된 상태였으나 근래에 들어 절단 부위를 접합하여 대좌 위에 다시 세웠다. 주변에서는 석등 부재로 보이는 옥개석과 하대석 조각이 발견되었다.

의의와 평가

통일신라시대의 전통적인 불상양식이 고려시대로 들어오면서 각 지방의 지역적 특색과 결합하여 다양한 양상으로 확산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남원의 문화유산』(남원문화원, 2001)
『남원의 역사문물』(이석홍, 국립전주박물관, 2000)
『남원지』(남원지편찬위원회, 199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주수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