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례 ()

목차
관련 정보
전통혼례
전통혼례
가족
의례·행사
신랑 신부가 처음 만나 절하고(교배례), 서로 합환주를 마시는(합근례) 혼례의식. 혼례.
목차
정의
신랑 신부가 처음 만나 절하고(교배례), 서로 합환주를 마시는(합근례) 혼례의식. 혼례.
내용

고례(古禮)주1에는 신부집에서 주2를 마친 다음, 함께 신랑집으로 가서 주3와 합근례(合卺禮)를 하였으나, 주4에는 신부집에서 전안례를 치른 다음 바로 이어 교배례와 합근례를 치른다. 혼례 당일이 되면 신부집에서는 사랑마당에 주5병풍을 치고 탁자를 설치하여 붉은 보자기를 덮어놓고, 탁자 앞에는 배석(拜席)을 깐다.

대문에서부터 배석 앞에까지 행보석(行步席)을 펴놓은 주6과 안대청 중앙에 주7을 친 뒤에 동뢰상(同牢床:독좌상)을 남향하여 정면에 놓되, 상보를 치고 독좌상에는 촛대 한 쌍에 불을 밝히고, 대추 · 밤 · 쌀 · 달떡 등을 진설하며, 주8을 동으로 암탉을 서로 갈라 놓는다. 독좌상 앞에는 소반에 청홍실을 맨 잔과 주전자와 숟가락을 놓고, 그 앞에는 화문석(花紋席)을 펴고 동서로 주9을 각각 하나씩 놓아 주10을 만든다.

시간이 되어 신랑이 신부집에 도착하면 신부집에서는 주11를 택하여 문에 나와서 신랑에게 읍하고 인도하면, 신랑은 답례하며 행보석을 밟고 전안청에 와서 선다. 주12가 기러기를 받아서 탁자에 놓되, 기러기의 머리를 좌편으로 두게 한 뒤 신랑의 주13로 전안례가 끝난다. 그 뒤 신랑은 연소자의 뒤를 따라 초례청에 와서 서쪽을 향하여 서면, 신부는 복색(服色)을 갖추고 주14를 따라 나와서 동쪽을 향해 서서 교배례와 합근례를 한다.

신부가 먼저 신랑에게 재배(再拜)하면 신랑은 주15하고 신부가 또 재배하면 신랑은 또 단배로 교배례가 끝난다. 이때 종자(從者)가 술을 따르고 안주를 권하면,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술잔을 조금 기울인 뒤에 마시고 안주도 먹는다. 또, 술을 따르면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나서 마시되, 이번에는 잔을 기울이지도 않고 안주도 먹지 않는다. 또, 신랑과 신부가 수방석에 꿇어앉으면 수모가 표주박에 술을 따라 신랑에게 권하면, 신랑은 입에 대었다가 다시 신부에게 보내어 퇴주한다. 이때는 술을 기울이지도 않고 안주도 먹지 않는다. 이로써 합근례가 끝난다.

참고문헌

『사례편람』
『한국 전통사회의 관혼 상제』(장철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관혼상제』(이민수 편역, 을유문화사, 1975)
「한국예속사」(김춘동, 『한국문화사대계』 Ⅳ,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0)
주석
주1

옛날의 예법이나 예절. 우리말샘

주2

혼례 때, 전안하는 예(禮). 우리말샘

주3

전통 결혼식에서, 신랑과 신부가 서로 절을 하는 예식. 우리말샘

주4

세속의 예절. 우리말샘

주5

햇볕을 가리기 위하여 치는 포장. 우리말샘

주6

혼례 때, 전안지례를 치르기 위하여 차려 놓은 자리. 대개 마당에 차일을 치고 병풍을 둘러 놓고, 큰상 위에 솔ㆍ대ㆍ과일ㆍ음식 따위를 차려 놓아 꾸민다. 우리말샘

주7

모란꽃을 그린 병풍. 주로 경사스러운 때에 친다. 우리말샘

주8

‘수탉’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9

수를 놓아서 만든 방석. 우리말샘

주10

초례를 치르는 장소. 우리말샘

주11

나이가 어린 사람. 우리말샘

주12

전통 혼례에서,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붓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하는 전안(奠雁) 의식을 할 때에, 기러기를 들고 신랑 앞에 서서 가는 사람. 우리말샘

주13

두 번 절함. 또는 그 절. 우리말샘

주14

전통 혼례에서 신부의 단장 및 그 밖의 일을 곁에서 도와주는 여자. 우리말샘

주15

한 번 절함. 또는 그 절.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