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공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추밀원부사, 참지정사이부상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54년(고종 41)
본관
명주(溟州)
주요 관직
수사공(守司空)|참지정사이부상서판호부사(參知政事吏部尙書判戶部事)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추밀원부사, 참지정사이부상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명주(溟州). 예부낭중(禮部郎中) 최효온(崔孝溫)의 손자로 아버지는 추밀원부사를 지냈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문음(門蔭)으로 양온령동정(良醞令同正)을 받아 이후 권지각문지후(權知閣門祗候)·안동대도호부판관(安東大都護府判官)·감찰어사(監察御史)·각문부사(閣門副使)·이부원외랑(吏部員外郎)을 지냈다.

충주와 영삭진(寧削鎭)의 부사와 형부낭중(刑部郎中)·사재소경(司宰小卿)·이부시랑(吏部侍郎)·추밀원우부승선(樞密院右副承宣)·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수사공(守司空) 등을 지냈다. 참지정사이부상서판호부사(參知政事吏部尙書判戶部事)로서 사퇴하였다. 1232년(고종 19) 몽고의 1차 침략 때에는 접반사가 되어 몽고 원수 살리타이[撤禮塔]가 파견한 사신의 영접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1254년에 작성한 묘지석이 현재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한국금석유문』(황수영, 일지사, 1976)
「고려 최항과 최공의 묘지」(황수영, 『고고미술』106·107합호,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