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산사명 동종 ( )

해남 탑산사명 동종
해남 탑산사명 동종
공예
유물
국가유산
탑산사 명문이 있는 고려시대 동종.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탑산사명 동종(塔山寺銘 銅鍾)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대흥사 (구림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탑산사 명문이 있는 고려시대 동종.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명문을 갖춘 고려시대 동종이다. 일제강점기에 전라남도 해남 읍내 헌병수비대에 있었으며, 현재는 대흥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전체 외형은 통일신라 범종을 계승하였으며, 주조기술이 뛰어나고 세부 장식도 우수하다. 한 마리의 용으로 종의 고리를 만들었는데, 용은 앞으로 뻗은 한쪽 발로 여의주를 잡고 입을 크게 벌리고 있다. 마치 포효하듯 역동적으로 묘사되었다. 음통은 3단으로 구분하여 당초문을 장식하였다. 몸체에 비해 종뉴와 음통은 비교적 크게 표현되었다.

천판에는 입상화문대가 둘러졌고 상대와 하대에는 당초문이 시문되었다. 상대 아래에는 연곽이 있고 몸체 중심에는 4구의 보살상이 부조되었다. 보살상은 화염광배를 갖추고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하단에는 4개의 당좌가 있고 그 사이에 명문이 새겨져 있다.

특징

종의 몸체에는 두 종류의 명문이 남아 있는데, ‘癸巳十月日塔山寺(계사십월일탑산사)’로 시작하는 것과 ‘萬曆二十一年癸巳(만력이십일년계사)’라는 1593년의 기록이다. 각각 고려와 조선시대의 내용을 다루고 있어, 그 유래에 대한 정확한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앞의 명문과 종의 양식적 특징을 참고하여, 계사년은 1233년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는 1222년에 제작된 부안 내소사 범종이 양식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명문에 등장하는 탑산사에 대해서도 아직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의의와 평가

통일신라의 동종 양식을 계승하면서, 세부 장식은 고려시대의 새로운 특징을 반영하였다. 전체적으로 주조 상태가 양호하고 조각 솜씨도 높은 수준이다. 고려시대 불교 공예품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하늘꽃으로 내리는 깨달음의 소리』한국의 범종 탁본전(직지성보박물관, 2003)
『한국의 범종』(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한국의 종』(염영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해남 대흥사소장 ‘탑산사동종’ 명문의 재검토」(최연식,『목간과 문자연구』5, 한국목간학회, 2010)
「고려 범종 양식 소고」(최원정,『문화사학』17, 한국문화사학회, 2002)
「大興寺の塔山寺鍾について」(葛城末治,『朝鮮金石攷』, 大阪屋號書店, 1935)
문화재청(www.ch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