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강희25년명 동종 ( )

목차
공예
유물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
목차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
내용

1686년(숙종 12) 제작. 높이 159.5cm. 종의 상부에는 험상궂게 표현된 한 마리의 용이 앞을 바라보고 있으며, 그 뒤로 음통(音筒)을 돌아가며 용의 몸체가 감싸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종신(鐘身)의 상대(上帶)에는 2단으로 나눈 원권범자문(圓圈梵字文)을 둘렀고, 바로 아래의 네 방향에는 유곽대(乳廓帶)를 두어 잎이 넓은 당초문으로 장식하였다. 유곽의 내부에 표현된 9개씩의 종유(鐘乳)는 납작한 별형의 연판으로 도식화하였다.

이 유곽과 유곽 사이마다 구름 위에 연꽃가지를 들고 서 있는 보살상을 1구씩 배치하였으나 유곽과 종신에 비해 크기가 매우 왜소하다. 종신 중단 아래로는 3단으로 이루어진 긴 내용의 명문이 돋을새김되었는데, 200여 명의 시주자(施主者) 명단을 기록하였다.

이 명문판 바로 아래를 돌아가며 팔괘문(八卦文)이 장식되었으며, 종구(鐘口) 위에 넓게 표현된 하대(下帶)에는 연·당초문(蓮唐草文)을 화려하게 부조하였다. 이 종의 제작자인 사인 비구(思忍比丘)는 경기도와 경상도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17세기의 대표적인 승려 장인(匠人)이었다.

그의 작품경향은 이 종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팔괘문을 제외하고는 중국종보다는 한국 전통형 종을 충실히 계승하였으며, 별모양의 종유와 구름 위에 몸을 돌린 채 연꽃가지를 든 보살입상을 특징으로 한다. 이 종은 사인 비구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였던 시기의 수작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불교미술대전』-불교공예-(한국색채문화사, 1994)
『한국의 미』-금속공예-(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93)
「한국범종에 관한 연구 -조선조종의 특징-」(염영하, 『범종』 11, 1988)
집필자
최응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