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경판 ( )

목차
관련 정보
양산 통도사 경판
양산 통도사 경판
출판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영축산(靈鷲山)에 있는 통도사 장경각(藏經閣)에 보관되어 있는 책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산 통도사 경판(通度寺經板)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05월 02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로 108 (하북면, 통도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영축산(靈鷲山)에 있는 통도사 장경각(藏經閣)에 보관되어 있는 책판.
내용

17종 746판. 19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대부분 17세기 후반에 판각된 것으로, 당시 널리 유통된 대승경전(大乘經典)을 비롯해 강원(講院) 교육과목인 사집과(四集科)와 사교과(四敎科)의 교과목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에서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私入記)』 ·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修楞嚴經)』 ·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 ·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는 사집과의 과목이고,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疎)』 · 『금강경(金剛經)』은 사교과에 포함된다.

그밖에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 · 『천수심경(千手心經)』과 다라니류는 신앙의식에 관한 문헌이다. 『현수제승법수(賢首諸乘法數)』는 참고용 사전류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런데 여기 수장된 책판은 17세기 중엽에 울산 운흥사(雲興寺)에서 간행한 불경이 대부분이다. 언제 어느때 통도사로 이관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통도사는 자장율사(慈藏律師)의 정신을 계승하고 부처님 진신사리를 금강계단에 모신 곳이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율종(律宗) 계통의 사찰로 알려져 있는 곳인데, 계율에 관한 경판(經板)이 거의 없고 일반 교종(敎宗) 사찰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들 경판을 통해서 보면 대부분 강원 교육용 교재이기 때문에, 당시 통도사는 강원 교육에 심혈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경남문화재대관』(경상남도, 1995)
「蔚州 雲興寺의 佛經刊行에 관한 硏究」(裵賢淑, 『서지학연구』 44, 200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