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대광명전 신중탱화 ( )

목차
관련 정보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신중탱화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신중탱화
회화
작품
문화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통도사 대광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목차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통도사 대광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통도사 대광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1804년(순조 4)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20㎝, 가로 183㎝. 1990년 경상남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개폐(開閉) · 성인(成人) · 매잠(埋岑) 등 6명의 양공(良工)이 그렸다. 이 불화는 제석(帝釋)과 천룡(天龍)을 각각 1폭으로 조성한 2점의 신중탱화이다. 자세한 명칭은 제석 · 천룡탱화이다.

2폭이 1조인 이 불화는 제석천과 위태천(韋駄天)을 중심으로 그 권속들이 둥글게 에워싸는 구도로 그 권속의 수가 많지 않다. 신중탱화란 부처님의 정법(正法)을 수호하는 신들을 나타낸 그림이다.

<제석탱화>의 제석은 인도의 토속신인데, 불교에 수용된 신으로서 모든 신을 지배한다. 보살 형태의 제석천이 의자에 정면으로 앉아 합장한 자세이다. 이 주위에는 천부(天部)의 여러 선신(善神)들인 일천자(日天子)와 월천자(月天子) 및 천녀(天女), 동자 등을 배치하였다.

<천룡탱화>는 위태천을 중심으로 천룡을 비롯한 팔부중 등 무장(武將) 모습의 신중을 그린 그림이다. 위태천 역시 인도의 신으로서, 불교에서는 불법 수호의 신, 특히 가람 수호의 신으로 섬겨져 왔다.

제석천을 향해 서 있는 위태천은 갑주(甲胄)를 걸치고 합장한 팔에 보검(寶劍)을 받들고 있으며 머리에는 투구를 쓰고 있다. 위태천의 좌 · 우에 위치한 천(天) · 용(龍) 등의 팔부중 외, 창을 든 사자(使者)도 보인다. 건장한 신체의 위태천은 얼굴에 비하여 이목구비가 작게 묘사되었으며 목이 짧다.

적색과 녹색 위주의 채색에, 금이 사용되었다. 특히 위태천과 팔부중의 갑주과 무기에는 금으로 정교하게 꾸며 한층 돋보이고 있다. 당시 불화에서 금니(金泥)가 억제된 점을 고려한다면 19세기에 신중탱화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2폭이 1조인 제석 · 천룡탱화도 드물게 나타나는 형식이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신중정화의 연구(I)·(II)」(김정희, 『한국의 불화』 4·5, 해인사본말사편(상)·(하), 성보문화재연구원, 1997. 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마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