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강산제 (판소리 )

목차
국악
개념
판소리 가운데 섬진강 서쪽에서 성행한 음색이 곱고 애절한 판소리. 서편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판소리 가운데 섬진강 서쪽에서 성행한 음색이 곱고 애절한 판소리. 서편제.
내용

1976년 9월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으나, 1995년 9월 보유자 사망으로 해제되었다. 서편제 판소리는 박유전(朴裕全)으로부터 비롯되었다.

그가 만년에 전남 보성군 웅치면 강산리(江山里)에서 살면서 서편제를 바탕으로 우조(羽調)의 맛을 입힌 새 유파를 개발하여 강산리의 건너 마을에 살았던 정재근(鄭在根)에게 전함으로 말미암아 정응민(鄭應珉)과 정권진(鄭權鎭)으로 이어지는 서편제의 한 갈래를 강산제라 부른다.

강산제는 특히 계면조 창법에 있어서 남자가 흐느껴 우는 처절하고 숙연한 ‘그늘진 목소리’로 소리 마디 마디에 심력을 다하여 판소리 주인공들의 갖가지 한을 표현함으로써 시달림 받는 서민들을 대신하여 울음을 토하는 예술이었다.

예능보유자였던 박옥심은 보성군 득량면 박실마을에서 태어나 13세때 목포의 권번(卷番)에 들어가 기생수업을 받은 뒤, 보성군 회천면 영천리의 정응민 문하에서 판소리를 배웠으며 <심청가>로 지정을 받았다.

참고문헌

『문화재목록』(광주광역시,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