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작지붕 (지붕)

목차
관련 정보
양양 낙산사 홍련암 정측면
양양 낙산사 홍련암 정측면
주생활
개념
지붕 위에 까치 박공이 달린 삼각형의 벽이 있는 지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지붕 위에 까치 박공이 달린 삼각형의 벽이 있는 지붕.
내용

一자형 평면에 구성되는 지붕의 형태로서 가장 완비된 구조물이다. 팔작지붕은 초가지붕에서 그 편린을 찾을 수는 있으나 기와지붕의 구성에 가장 적절하다.

처마는 추녀가 설치된 형태이며, 좌우 마구리에는 큼직한 삼각상(三角狀)의 합각이 구성된다. 합각의 구성으로 지붕 용마루의 길이가 길어졌고 좌우 끝이 들려질 수 있는 반전곡면(返轉曲面)이 생겨서 그 선을 연장하면 허공에 원을 그리는 선조(線條)가 이루어질 듯이 보이게 된다. 그 끝에 치미나 취두를 설치하고 용마루 중앙등에 수두(獸頭)를 얹는다.

용마루 좌우로부터 흘러 내리는 합각마루로 인하여 귀면(鬼面)과 용두(龍頭)가 장치될 수 있게 되며, 합각마루로부터 다시 추녀등을 타고 추녀마루가 생긴다. 원통형 기와, 바라지 기와, 귀면와, 왕지 기와 등의 기와로 아름답게 장엄(壯嚴)된다.

추녀마루는 중간쯤에서 한 단 낮게 알마루로 구성되기도 한다. 이것은 처마 끝에 하중(荷重)을 덜 실리게 하기 위한 수단인데, 이 부분에 잡상(雜像)을 늘어 놓기도 한다. 기왓골 끝에 백자로 만든 연봉오리를 꽂아 방초(防草)막이 구실을 하도록 설치하기도 한다.

궁실의 법전(法殿)이나 절의 금당(金堂 : 大雄殿) 등 중요건물의 지붕은 대체로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지붕 중에서는 최고의 구조인 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