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작지붕 (지붕)

목차
관련 정보
양양 낙산사 홍련암 정측면
양양 낙산사 홍련암 정측면
주생활
개념
지붕 위에 까치 박공이 달린 삼각형의 벽이 있는 지붕.
목차
정의
지붕 위에 까치 박공이 달린 삼각형의 벽이 있는 지붕.
내용

一자형 평면에 구성되는 지붕의 형태로서 가장 완비된 구조물이다. 팔작지붕은 초가지붕에서 그 편린을 찾을 수는 있으나 기와지붕의 구성에 가장 적절하다.

처마는 추녀가 설치된 형태이며, 좌우 마구리에는 큼직한 삼각상(三角狀)의 합각이 구성된다. 합각의 구성으로 지붕 용마루의 길이가 길어졌고 좌우 끝이 들려질 수 있는 반전곡면(返轉曲面)이 생겨서 그 선을 연장하면 허공에 원을 그리는 선조(線條)가 이루어질 듯이 보이게 된다. 그 끝에 치미나 취두를 설치하고 용마루 중앙등에 수두(獸頭)를 얹는다.

용마루 좌우로부터 흘러 내리는 합각마루로 인하여 귀면(鬼面)과 용두(龍頭)가 장치될 수 있게 되며, 합각마루로부터 다시 추녀등을 타고 추녀마루가 생긴다. 원통형 기와, 바라지 기와, 귀면와, 왕지 기와 등의 기와로 아름답게 장엄(壯嚴)된다.

추녀마루는 중간쯤에서 한 단 낮게 알마루로 구성되기도 한다. 이것은 처마 끝에 하중(荷重)을 덜 실리게 하기 위한 수단인데, 이 부분에 잡상(雜像)을 늘어 놓기도 한다. 기왓골 끝에 백자로 만든 연봉오리를 꽂아 방초(防草)막이 구실을 하도록 설치하기도 한다.

궁실의 법전(法殿)이나 절의 금당(金堂 : 大雄殿) 등 중요건물의 지붕은 대체로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지붕 중에서는 최고의 구조인 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신영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