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국악
개념
가곡 중에서 편락 · 편수대엽 · 엇편 · 우편 등 편의 형태를 가진 곡조를 통칭하는 국악용어. 편수대엽 · 엮음 · 사설.
이칭
이칭
편수대엽, 엮음, 사설(辭說)
목차
정의
가곡 중에서 편락 · 편수대엽 · 엇편 · 우편 등 편의 형태를 가진 곡조를 통칭하는 국악용어. 편수대엽 · 엮음 · 사설.
내용

편수대엽을 편이라 약칭하기도 한다. 가곡에서는 편의 용어만 쓰고 있으나, 시조창에 있어서는 편과 아울러 엮음·사설(辭說)·새살·주슴·습(拾) 등 여러 갈래의 동곡이명(同曲異名)을 쓰기로 하고, 민요에서는 엮음아리랑·엮음수심가·사설공명가·사설난봉가 등 사설과 엮음의 말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이들 용어는 한결같이 음악적인 형태에서 온 이름이다. 즉, 편·엮음·사설 등의 이름이 붙은 노래는 그 장단이 촘촘해지는 리듬과 관련이 있다. 가곡에서 편의 이름이 붙지 않은 초수대엽(初數大葉)이나 농(弄)·낙(樂) 등의 장단과 편의 말이 사용되는 편수대엽·엇편 등 곡의 장단을 비교하면 앞에 있는 [그림]과 같다.

이와 같이 한 장 속에서 장구 장단을 치는 점수(點數)는 같아도 초수대엽이나 농 또는 낙의 한 장단 16박자가, 편에서는 한 장단 10박자로 줄어들고 그 속도도 빨라진다.

편이 계면조인데 대하여, 우편은 우조(羽調) 즉 평조(平調) 선법(旋法)에 의한 편이라는 뜻에서 온 이름이고, 엇편은 편수대엽같이 계면조이되, 그 노래 부르는 형태에서는 다르다.

『가곡원류』에 의하면, 엇락(旕樂, 言樂)은 지르는 낙시조, 엇편은 지르는 편 자즌한입이라고 하였다. 즉, 엇(旕)의 낙(樂)은 지르는 낙시조(樂時調)이고, 엇의 편은 지르는 편 자즌한입(數大葉)이 된다. 따라서, 엇은 ‘지른다’ 즉 소리를 높여 고음(高音)으로 시작하고, 편은 ‘엮는다’ 즉 장단이 촘촘하다는 뜻이 된다.

편수대엽과 엇편은 한 장단 10박으로 촘촘히 엮어나가는 점에서는 같지만 곡조 처음 부분을 고음으로 높이 질러내는 창법은 엇편만이 가지는 특징이다.

참고문헌

「언롱(言弄)과 언편(言編)」(장사훈, 『이혜구박사송수기념음악학논총(李惠求博士頌壽紀念音樂學論叢)』, 한국국악학회, 1969)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