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중리 독재굴 유적 ( 독재굴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안남도 중화군 장동면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포자화분 · 동물화석 등이 발견된 동굴. 석회동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안남도 중화군 장동면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포자화분 · 동물화석 등이 발견된 동굴. 석회동굴.
내용

중리협동농장 제2작업반 마을로부터 남서쪽으로 500m 떨어진 나즈막한 산 아래 위치하고 있는데, 주변의 밭과 논이 거의 평면위치에 있다.

동굴 입구까지 퇴적물이 쌓여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높이 40㎝, 너비 120㎝의 입구이고 동굴퇴적층에 대한 포자화분(胞子花粉)과 고동물(古動物)화석 자료의 분석으로 독재굴 안에는 적어도 3시기를 대표하는 퇴적층이 발달하고 있다는 것을 확증할 수 있다.

제1층은 석회암층 위에 두께 약 10㎝의 연황색점토층이고, 제2층은 10∼20㎝의 두께로서 진흙이 섞인 모래층, 제3층은 5㎝ 두께의 이질(泥質)점토층, 제4층은 66㎝ 두께의 미세한 모래질진흙층, 제5층은 5㎝ 두께의 모래질·이질점토층, 제6층은 50㎝ 두께의 진흙질모래자갈층, 제7층은 5㎝ 두께의 잔자갈을 포함하는 붉은색진흙층, 제8층은 7㎝ 두께의 잔자갈을 포함한 황색진흙층, 제9층은 10㎝ 두께의 갈색모래질진흙층이다.

제9층 위에는 모래자갈을 많이 포함한 갈색진흙층이 놓여있는데, 그 두께는 370㎝에 달한다. 동굴입구로부터 안으로 깊이 들어가면서 절단한 퇴적층들은 약 4∼5m 정도 각기 다른 길이로 연장되고 그 이상 깊이에서는 발달하지 않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동굴퇴적층에서 나온 포자와 화분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이 포자분석 자료들은 3시기의 유적 단면들을 분별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고, 퇴적층에서 발견된 고동물화석자료와 석기자료들을 비교한 결과 구분이 기본적으로 일치하고 있었음을 확인하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평양시 상원군중리 독재굴유적에 대하여」(리상우, 『조선고고연구』1988년 1호, 사회과학출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