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염정일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희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희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50년(철종 1)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곤(李中錕)의 서문이, 권말에 김세락(金世洛)의 발문이 있다. 경주이씨종손가에 있다.

권1에 시 64수, 권2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제문·만사(輓詞)·증유(贈遺)·피염정기(避炎亭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은거한 학자의 여유 있는 풍류와 한가함 등을 읊은 것이 많으며, 전반적으로 조촐하고 담백한 느낌을 준다. 온건한 비판과 풍자가 진솔하고 겸허한 시작 태도와 조화를 잘 이루고 있다.

이 가운데 「차기부사운이수(次棄婦詞韻二首)」는 여인의 내적 갈등과 극복을 섬세하면서도 사실적으로 묘사한 뛰어난 작품이다. 「증낙치(贈落齒)」와 「낙치답(落齒答)」은 빠진 이를 의인화시켜 자문자답형식으로 당시 사회의 불평등과 모순을 풍자한 시로, 작자의 청렴하고 여유 있는 생활태도를 엿볼 수 있다.

「중래금곡고지유감이작(重來琴谷故址有感而作)」은 나이 든 사람의 관조적인 태도로 인생의 무상함을 읊은 것으로 담백함과 진솔함이 돋보이는 작품이며, 「장령원정사절(掌令園亭四絶)」은 은거한 도학자의 청렴한 생활을 읊은 것이다.

부록은 당시의 유명한 학자들이 저자의 높은 학식과 고매한 인격을 칭송한 글들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