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악양 석불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정서리 석조여래입상
정서리 석조여래입상
조각
유적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강선암(降仙庵)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석조 불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강선암(降仙庵)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석조 불상.
내용

전체 높이 2.55m, 불상 높이 1.91m. 주형 거신광배(舟形擧身光背)와 몸체 그리고 상대(上臺)가 모두 한 돌로 구성되었다. 몸체는 광배에서 높게 돌출된 고부조[高浮彫 : 모양이나 형상을 나타낸 살이 매우 두껍게 드러나게 한 부조]로 표현되었다.

불상의 머리는 소발(素髮)이며, 육계가 비교적 높게 솟아 있다. 양 귀는 길게 늘어져 있고, 얼굴은 둥근 편이다. 눈은 간략히 선각(線刻)으로만 처리되었고, 입술과 코가 매우 작게 표현되어 고려불상의 특색을 잘 보여 준다. 목에는 삼도가 있으며, 양어깨를 둥글게 표현하였으나 좁고 가파르다. 이 어깨를 덮은 통견(通肩)의 법의가 양손을 감고 대좌에까지 흘러내렸다.

가슴 앞에서 몇 겹의 층급을 이룬 승각기와 배 앞에서 X자형으로 주름진 선각 옷주름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사실성이 결여되어 형식적이고 섬약해진 모습으로 변모되었다. 원래의 양손은 결실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 끼워 놓은 두 손은 뒤에 보수된 것이다. 그 상태로 보아 대체로 여원인(與願印)·시무외인(施無畏印)의 수인을 취하였다고 생각된다.

신체에 비하여 매우 작게 표현된 두 발 아래로는 현재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의 겹잎으로 구성된 상대만이 남아 있다. 거신광 안에는 두광과 신광이 얕게 돌출된 양각선으로만 표현되었다. 그러나 그 여백 부분에는 불꽃무늬나 화불(化佛)과 같은 장식이 전혀 없다.

전체적으로 통일신라의 불상 양식을 따랐으나 세부의 조각이 섬세하지 못하다. 옷주름 선이 섬약해지고 도식화된 점과 하반신이 짧아져 불안정해 보이는 점 등으로 미루어 대체로 고려시대 초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경상남도지』(경상남도지편찬위원회, 1978)
「하동악양의 석조여래입상」(박경원, 『고고미술』78, 한국미술사학회, 196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