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태석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광복회의 설립을 재정적으로 지원하였으며, 의병 활동 및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6년(고종 13)
사망 연도
1949년
출생지
충청남도 청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광복회의 설립을 재정적으로 지원하였으며, 의병 활동 및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충청남도 청양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향리에서 서당교육을 받다가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충격을 받고 홍성의 민종식(閔宗植) 의병부대를 찾아가 합류하고, 항일투쟁에 적극 가담하였다.

그 뒤 독자적으로 충청남도 홍산(鴻山) 지치(支峙) 마을에서 청년 수십 명을 모아 기병(起兵)하여 이웃인 구병(九兵)·문장(文章)·서천(舒川) 등지와 홍주성 교전까지 항일투쟁을 계속하였다. 1906년 5월에는 서산·해미·예산·대천·광천 등지에서 청년을 모아 의병부대에 합류시켰다. 그러나 일본군 수비대에 발각되어 붙잡힐 뻔하였으나 동지와 같이 변장, 탈출하여 위기를 모면하였다.

1916년 비밀결사 광복회(光復會)를 조직할 때 재정적으로 지원하였으며, 1920년 8월 미국 국회의원 일행 100여 명이 방문할 때 사이토[齋藤實] 총독과 정무총감(政務總監)을 저격, 사살하기 위하여 동지 10여 명과 함께 계획을 치밀히 세웠으나 무기를 전달하기 위하여 귀국한 임시정부 요원 한우석(韓禹錫)이 붙잡힘에 따라 그 계획은 무산되었다.

1929년 1월 충청남도 대덕군 기성면의 부호 정순학(鄭淳學)에게 군자금을 요청, 그로부터 200원을 받아 나오다가 잠복 중이던 일본형사에게 붙잡혀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8년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한민족광복투쟁사』(이현희, 정음문화사, 1990)
『동아일보』(1929.11.13)
『조선독립운동』Ⅰ·Ⅱ(김정명 편, 원서방, 1967)
「경성복심법원판결문(京城覆審法院判決文)」(1929)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