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동정월 ()

국악
인물
해방 이후 「가야금 산조 및 병창」의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가야금산조명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17년
사망 연도
1994년
본관
강릉(江陵)
출생지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지로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가야금 산조 및 병창」의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가야금산조명인.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본명은 함금덕(咸金德)이고 함동정월은 예명이다.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지로리에서 아버지 함일권과 어머니 박양근 사이의 2남 5녀 중 넷째 딸로 태어났다.

생애와 활동사항

어릴 때 집안이 기울어져 학교를 다닐 수 없게 되자 11세 때 광주권번에 들어가 예기(藝妓) 수업을 받았다.

그곳에서 시조 · 승무 · 검무와 가야금으로 영산회상을 배우고, 12세 때부터 고향인 병영으로 돌아와 김복술에게 가곡을, 김채만의 제자인 김군옥에게 판소리 중 적벽가와 흥보가를, 공장식의 제자인 임공교에게 춘향가를, 최옥산(崔玉山)을 만나 가야금 산조를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17세 때 정식으로 목포 권번에 이름을 올리고 예기의 삶을 시작하였다. 이때 목우암이라는 절에 가서 100일 공부를 하며 김창환의 제자인 오수암(吳壽岩)한테서 판소리 심청가와 춘향가를 배웠다.

19세 되던 해에 일본 칼럼비아레코드사가 광주에서 개최한 경연대회에 판소리로 입상한 뒤 일본 동경에 가서 판소리, 육자배기, 가야금 산조, 가야금 병창의 음반을 취입하였다.

21세에 서울에 올라와 조선권번에 이름을 올리고 예기로 활동하다 두 달 반 만에 혼인하여 17년간 음악생활을 중단하였다. 38세 때 대전에서 사설 국악원을 설립하여 가야금을 다시 시작하였다. 41세 때 다시 서울로 올라와 박초월(朴初月)이 운영하던 예술학원에서 판소리 공부를 하다가 46세부터는 정악원(正樂院)에서 11년간 영제 시조를 공부했다.

53세부터 57세까지 명고수 김명환(金命煥)과 혼인하여 함께 최옥산류 가야금산조 연주의 절정기를 이루었다. 64세 때인 1980년에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가야금산조 및 병창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받았다.

78세에는 뿌리깊은나무 산조전집(9 LP 중 2번 음반, 함동정월 가야금 산조, 북:김명환, 1989, 1994년에 킹레코드사에서 CD로 복각됨), 함동정월 가야금산조 병창 판소리 남도민요(컬럼비아 유성기 원반9, 1935년 녹음, LG미디어, 1996)를 녹음하였다.

여러 분야의 국악 공부를 열심히 했으므로 산조 · 판소리 · 가곡 · 시조 등 다양하게 음악의 높은 경지에 이르렀다. 비슷한 시기의 다른 연주자들에 비하여 스승에게 배운 가락이 완벽하여 더 첨가할 것이 없다며 그대로 연주하였다. 그래서 최옥산 가야금산조가 산조의 원형(原形)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꼽히고 있다.

험난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건강도 고르지 못하였으나 예술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꾸준히 간직하였으며 끊이지 않고 후진에게 전수시키는 일에도 열심이었다.

그의 제자로는 윤미용(尹未容), 나현숙(羅賢淑), 성애순(成愛順), 황병주(黃炳周), 이경자(李京子), 이명희(李明姬), 김상순 등이 있다.

참고문헌

『국악반주법-최옥산류가야금산조-』(이재숙 편, 수문당, 1980)
『산조-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7-』(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1987)
『물은 건너봐야 알고 사람은 겪어봐야 알거든』(함동정월 구술, 김명곤 김해숙 편집, 뿌리깊은나무, 1991)
『이 사람 이후』(박성희, 도서출판 월드북, 199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