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반 ()

목차
가족
개념
양반층에서 혼인을 매개로 형성된 사회적 관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양반층에서 혼인을 매개로 형성된 사회적 관계.
내용

구체적으로는 조선시대의 지체 높은 양반층에서 연줄에 의한 잦은 혼인을 통하여 맺어지는 문중간의 관계를 일컫는다. 따라서 우리 나라 전통사회에서 혼반은 계층적으로 일부 양반층내의 혼인관계를 지칭하는 용어로 통용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상놈에게 혼반이라 할 것이 뭐 있나?”라는 표현은 혼반의 신분적 제한성을 명백히 보여주는 예라고 하겠다.

조선시대의 통혼(通婚)의 계층적 제한은 엄격하였다. 즉, 통혼은 왕실과 서민 사이, 양반귀족과 상민 사이, 양민과 천민 사이, 적자녀(嫡子女)와 서자녀(庶子女) 사이 등에는 엄격히 금지되어 있고 또한 부당시되었다. 이러한 ‘계급적 내혼제’는 상속제와 결합하면서 혼반에 특수한 사회적 기능을 주었다.

조선시대에는 어떤 씨족의 파조(派祖) 즉, 한 문중의 시조는 높은 관직을 지냈거나 학문적으로 큰 업적을 남겼으며, 경제적으로도 부유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회적 기반은 후대까지 상속되도록 허락되어 있었다. 따라서, 혼반은 생물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사회적 의미도 함축하고 있었다. 우선 생물학적 의미로는 혼반관계를 추적해봄으로써 혼인 당사자의 혈통, 신체적 특징 그리고 질병의 유무 등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의미로는 혼반을 알게 되면 특정 집안의 사회적 위세, 정치적 권력, 그리고 경제적 부의 정도까지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혼반은 근대적 혼인제도가 정착하면서 오늘날에는 사실상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혼인은 더 이상 문중과 가문에 의해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차라리 개인의 특징, 이를테면 직업·학력·나이, 개인적 성취 정도, 그리고 사랑 등이 혼인관계의 중요한 결정인자가 되었다. 그러나 가족주의문화적 전통의 영향으로 아직까지 혼반을 따지는 경우를 가끔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가족제도연구』(김두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9)
「영남지방의 혼반(婚班)연구」(조강희, 『민족문화론총』 6,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