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아장수

목차
사회구조
개념
조선시대에 끈목 · 담배쌈지 · 바늘 · 실 따위의 모든 잡살뱅이의 물건을 짊어지고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파는 행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에 끈목 · 담배쌈지 · 바늘 · 실 따위의 모든 잡살뱅이의 물건을 짊어지고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파는 행상.
내용

황아장수에서 황아란 황화(荒貨)가 전이된 말이며, 장수란 한국 전통사회에서 행상을 하는 사람을 일컬었다.

오늘날 잡화(雜貨)라고 통칭되는 물건들이 과거에는 목기(木器)·황아·방물 등으로 세분되어 있었다. 목기는 밥상·제기(祭器)·소쿠리 등 나무로 만든 물건들이고, 방물은 참빗·얼레빗·색경(色鏡)·금박띠·댕기·바늘·실·골무·화장품·패물 등 여자의 소용품들이며, 황아란 이러한 물품들을 제외한 잡살뱅이 일상생활 용품들이었다.

황아를 파는 가게를 황아방[荒貨房], 혹은 황아전[荒貨廛]이라 하였으며, 황아를 팔러 다니는 사람을 황아장수라 불렀다. 특히, 황아장수는 가가호호 방문을 통하여 상행위를 하였기 때문에, 방물장수·밥상장수·소쿠리장수 등과 더불어 전통사회의 중요한 정보매체 구실을 할 수 있었다.

이들은 물건을 거래하는 동안 인근 마을의 소식이나 이웃집의 정황 등을 장황하게 늘어놓기도 하였으며, 가끔씩 식사 때가 되면 식사 대접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백화점이 등장하고 교통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황아장수의 흔적은 찾아볼 길이 없다.

참고문헌

『풍류세시기(風流歲時記)』(이승만, 중앙일보사,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