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주 ()

포도도(홍수주 작)
포도도(홍수주 작)
회화
인물
조선후기 대사간, 예조참의, 도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화가.
이칭
구언(九言)
호은(壺隱), 호곡(壺谷)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2년(인조 20)
사망 연도
1704년(숙종 30)
본관
남양(南陽)
주요 관직
승지|충청도관찰사|대사간|예조참의
정의
조선후기 대사간, 예조참의, 도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화가.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구언(九言), 호는 호은(壺隱)·호곡(壺谷). 관찰사 홍처윤(洪處尹)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2년(숙종 8) 문과에 급제하였고, 벼슬은 승지·충청도관찰사·대사간·예조참의·경기도관찰사·도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695년 동지사행(冬至使行)의 부사로 중국에 다녀왔다.

매화·대나무·포도를 잘 그렸는데, 특히 포도가 뛰어났으며 글씨는 전서(篆書)를 잘 썼다. 그의 포도그림은 대개 나뭇가지가 위에서 아래로 둥그스름하게 휘어져내린 도수식 구도(倒垂式構圖)로 농담묵(濃淡墨)을 써 잎과 열매를 그리는 화법으로 그렸는데 입체감과 변화감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유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묵매도(墨梅圖)」(1704)와 「묵포도도(墨葡萄圖)」, 간송미술관 소장의 「포도도」 등이 전한다. 그 중 「묵매도」는 횡관식(橫貫式)과 S자식 구도를 혼용하면서 다절노간(多節老幹)과 인준한지(鱗皴寒枝)를 비백법(飛白法)으로 힘차게 묘사하고 있다.

「묵포도도」는 도수식 구도에 포도알과 잎을 농담묵으로 무성하고 번잡하게 그렸다. 이러한 「묵포도도」의 전통은 조선 후기 최석환(崔奭煥) 등에게로 계승되었다. 문집으로 『호은집(壺隱集)』을 남겼다.

참고문헌

『한국회화대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허영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