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세고 목판 ( )

목차
관련 정보
시렁에 보관된 화산세고책판
시렁에 보관된 화산세고책판
출판
유물
국가유산
1911년에 안동권씨(安東權氏) 문중의 시문을 모아 간행한 『화산세고(花山世稿)』의 책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화산세고 목판(花山世稿 木板)
분류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판목류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6년 08월 06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합천군 황강옥전로 1558 (쌍책면, 합천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1년에 안동권씨(安東權氏) 문중의 시문을 모아 간행한 『화산세고(花山世稿)』의 책판.
내용

65판. 1986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세고의 서문은 1896년에 송병순(宋秉珣)이 썼고, 20권 1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산은 안동의 옛이름이다.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회양리 안동권씨 문중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경남문화재대관』(경상남도,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