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 강희61년명 종 ( )

목차
관련 정보
구례 화엄사 강희61년명종
구례 화엄사 강희61년명종
공예
유물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화엄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
목차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화엄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
내용

높이 96.0㎝. 1722년(경종 2) 제작. 이 종은 원래 화순의 유마사(維摩寺) 용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한국 전통종 양식을 따른 작품이지만 전대의 형식에서 많은 혼란을 가져온 듯 세부표현이 도식적이고 문양 또한 치졸하다.

마치 족제비나 고양이처럼 이상스럽게 변모된 한 마리의 용뉴(龍鈕) 뒤로는 대나무를 붙인 듯한 음통(音筒)이 솟아 있다. 불룩해진 천판(天板) 외연에는 두 줄의 돌기선이 주회되고, 그 아래의 종신 상부면에는 ‘唵(옴)’자 하나로만 구성된 원권(圓圈)의 범자문(梵字文)을 빙 둘러가며 시문하였다.

종신 중단의 유곽대(乳廓帶)는 2단으로 구획되어 내부에는 도식적인 사선문(斜線文)을 복잡하게 시문하였고, 유곽 안으로는 국화형의 화문좌(花文座) 위에 돌기된 종유(鐘乳)를 9개씩 장식하였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 배치된 1구씩의 보살입상은 경직된 자세와 천의(天衣), 도식적인 머리 위의 보관(寶冠) 등이 매우 서툴게 표현되어 해학적인 느낌마저 든다.

종구(鐘口)에서 조금 위로 올라온 하단부에는 또 하나의 융기선을 둘러 마치 하대(下帶)처럼 구획하였으나 문양은 표현되지 않았고, 이 융기선과 네 구의 보살상 아래의 여백면에는 불규칙한 방형의 양각(陽刻) 명문구(銘文區)를 별도로 배치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불교미술대전(韓國佛敎美術大典) -불교공예(佛敎工藝)-』(한국색채문화사, 1994)
「한국범종(韓國梵鐘)에 관한 연구(硏究) -조선조종(朝鮮朝鐘)의 특징(特徵)-」(염영하, 『범종』11, 198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