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 성불사지 석불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화천 성불사지 석불입상
화천 성불사지 석불입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간동면 유촌리 용화산 자락에 위치한 성불사지의 고려시대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화천성불사지석불입상(華川成佛寺址石佛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6년 02월 27일 지정)
소재지
강원 화천군 간동면 유촌리 산20-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간동면 유촌리 용화산 자락에 위치한 성불사지의 고려시대 불상.
내용

1996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불상 높이 218㎝. 이 불상은 두 조각으로 깨어진 채 발견되었는데 1996년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문화재(현, 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목 부분부터 어깨까지 표면이 깨졌고 머리가 없으며, 두 손의 모양이 분명하지 않다.

왼손은 몸체와 함께 조성되는 보통의 예와는 달리 별도의 손을 제작하여 끼워 넣었던 것 같다. 두 조각의 몸체 중 118cm 크기의 상체는 옷주름을 얇게 해 신체의 굴곡을 드러냈다. 양어깨를덮은 통견(通肩)의 대의에는 목을 중심으로 가슴으로부터 복부를 거쳐 발목에 이르기까지 여러 겹의 U자형 옷주름을 형성하였다.

두 팔에 보이는 선(線) 위주의 얕은 계단식 옷주름은 흘러내린 곡선의 옷자락과 더불어 불상의 부피감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꽂이 역할의 촉을 포함하여 100㎝ 크기인 하체는 상체에 비하여 양감이 훨씬 덜하고, 기술적인 면에서도 큰 차이가 난다.

1995년 석불입상이 놓여 있던 부근에서 발견된 대좌는 가로 150㎝, 세로 125㎝ 크기이다. 네모꼴 판석 위에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을 두르고 1단의 턱을 둔 둥근 모양의 연꽃대좌로 뒤쪽 두 모서리 일부만 깨어졌다.

성불사지 발견의 석불입상은 상체는 어깨에서 허리까지가 겨우 50㎝ 정도 밖에 되지 않는데 비해 하체는 상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길다. 신체 각 부위의 표현도 사실성과 부피감이 떨어지며 돌 기둥화 되는 등 고려시대 전반기의 석불 입상에서 나타나는 양식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부조(浮彫 : 돋을새김)와 같은 느낌의 정면관(正面觀 : 앞에서 바라본 모습) 위주로 뒷면이 납작하여 네모난 돌기둥을 보는 것 같다. 이와 같은 특징은 이 불상이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임을 알게 해 주는 요소이다.

참고문헌

『화천(華川) 성불사지(成佛寺址) 지표조사보고서(地表調査報告書)』(화천군청·강원지역문화연구회, 1998)
『화천(華川)의 역사(歷史)와 문화(文化) 유적(遺蹟)』(강원대학교박물관·강원도 화천군, 199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