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복사 ()

목차
관련 정보
황복사지
황복사지
불교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내용

현재 1962년 국보로 지정된 황복사지 삼층석탑 등 석재유물 몇 점만이 남아 있다. 절 이름으로 보아 창건이 왕실과 관계되는 것만 추정할 수 있을 뿐, 창건자 및 창건연대는 미상이다.

의상(義湘)이 출가한 사찰이며, 54대 경명왕이 사망한 후 이곳에서 화장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삼층석탑은 692년(효소왕 1)에 왕이 아버지인 신문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이후 효소왕의 뒤를 이은 성덕왕이 즉위한 지 5년만인 706년에 사리와 불상 등을 다시 탑안에 넣어 앞의 두 왕의 명복을 빌고, 왕실의 번영과 태평성대를 기원하였다. 1942년 착수된 탑 해체수리 과정에서 2층 지붕돌 안에서 발견된 금동 사리함 뚜껑 안쪽에 탑을 건립하게 된 경위와 발견된 유물의 성격이 기록되어 있어 탑의 건립 연대와 조성 의도를 정확히 알 수 있다. 함께 발견된 구황동 금제 여래좌상과 금제 여래입상은 1962년 각각 국보로 지정되었다.

그 밖에 은과 동으로 만든 고배(高杯), 무수한 유리구슬, 팔찌·금실 등이 커다란 도금청동함(鍍金靑銅函) 속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유지에는 십이지상(十二支像)이 탑의 동편에 있다. 모두 9상이 남아 있는데 평복의 부조가 신라 12지상 중 가장 두드러지고 가장 세련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또, 탑의 동서쪽에는 머리가 잘린 귀부(龜趺) 3좌가 있는데, 이는 탑비(塔碑) 또는 가람비(伽藍碑)의 귀부로 추정되며, 이 근처에서 비편(碑片)들이 발견되었다. 이 밖에도 당간지주(幢竿支柱) 일부와 석정(石井) 등이 있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신라(新羅)의 폐사(廢寺) Ⅰ』(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4)
집필자
장충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