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시조집 ()

현대문학
문헌
태화출판사에서 고두동의 시조 120편을 수록하여 1963년에 간행한 시조집.
정의
태화출판사에서 고두동의 시조 120편을 수록하여 1963년에 간행한 시조집.
개설

B6판. 230면. 작자의 첫 시조집으로, 1963년 태화출판사(太和出版社)에서 간행하였다. 박종화(朴鍾和)의 제자(題字)에 이병기(李秉岐)의 서문이 들어 있으며, 저자의 자필 서시(序詩)가 서두에 실려 있다.

내용

시집의 구성은 전부 8부로 나뉘어 모두 120편의 시조가 수록되어 있다. 각 시조의 말미에는 작품으로 제작한 연도가 명기되어 있어 시상의 변화 과정과 그때그때의 심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의 경향은 대체로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일상생활에서의 심경과 감흥을 소박하게 토로한 작품군이며, 또 하나는 역사적 유물이나 유적을 소재로 하여 회고적 정서를 노래하였거나 역사적 사실에 대한 느낌을 토로한 작품군이다.

전자의 작품들이 한 수의 단시조로 되어 있는 데 비하여 후자의 작품들은 대개 연시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의 시조들이 압축적인 느낌을 준다면, 후자의 시조들은 다소 산만하고 늘어진 느낌을 준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의 시조작품의 특징은 소박성에 있다. 화려한 수식이나 재치 있는 언어구사는 피하고 감정의 진솔한 표현에 전념하였으며, 진솔한 표현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적 진실성이 전달되기를 원하였다.

이것은 시조집 서두에 실린 서시에서도 확인된다. “노래를/잊자 한들/꾀꼬리의/넋이 울고/설움을/말자 해도/목청이/두견일레/애꿎은 나의 소리엔/얼과 피가/얽힌다.” 이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가능성과 한계가 다 잠겨 있다.

고두동의 시조의 출발은 낭만적 자발성(浪漫的自發性)에 있다. 누가 시켜서 억지로 시조를 쓰는 것이 아니라 자신도 어찌할 수 없는 내면적 혼의 울림이 시조라는 것이다. 어차피 시조의 선택이 내면적 혼의 울림에 의한 것이기에 작위적 기교는 고두동에게 무의미한 것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

꾀꼬리나 두견의 울음이 자의적인 기교에 의한 것이 아니듯, 고두동의 시조 또한 기교를 거부한 감정의 토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고두동의 시조가 대체로 비슷한 어조를 지니고 시행의 배치도 파격을 거의 보이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의의와 평가

현대시조의 형식을 빌려 생활인의 소박한 감정을 진솔하게 토로한 측면은 가람시조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