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천 ()

목차
관련 정보
서정주의 동천
서정주의 동천
현대문학
작품
서정주(徐廷柱)가 지은 시.
목차
정의
서정주(徐廷柱)가 지은 시.
개설

작가의 대표시 중의 하나로 1966년 『현대문학』 5월호에 발표되었다. 12월에는 『예술원보』에 두 행정도를 추가하여 개작 발표하는데, 1968년 민중서관에서 시집 『동천(冬天)』을 간행하면서 첫 발표 형태의 작품을 수록했다.

내용

이 시기는 작가의 초기 시에 보이던 생명력에 대한 갈구나 병적인 징후가 『귀촉도(歸蜀途)』『신라초(新羅抄)』의 단계를 거침으로써 어느 정도 사라지고, 동양적 체념과 안식의 자세를 취하며 마음의 평정을 도모하던 때이다. 서정주 시의 전개 과정에 있어서는 사상적 원숙미와 시적 구성력이 가장 고조된 시기라 할 수 있다.

물론, 『동천』에 실린 작품들이 불교의 인연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이 대부분이어서 『신라초』의 연장선상에 놓인다고도 볼 수 있지만, 불교적 설화조의 바탕에 짙은 주1적 인식이 착색되어 있음을 그 차이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설화조의 시들이 긴장감 어린 압축미보다는 이야기와 결부된 사색의 깊이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러한 산문적 서술시와는 달리 짤막한 단시의 형식을 통하여 한순간의 정신의 긴장과 감정의 응축을 포착하고자 한 작품들도 많이 보인다. 이 시기의 그러한 성향을 대표하는 시가 바로 「동천」인 것이다.

이 시는 전부 5행으로 되어 있으며 전문은 다음과 같다. “내 마음 속 우리 님의 고운 눈썹을/즈믄 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동지 섣달 날으는 매서운 새가/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각 시행은 7 · 5조를 기반으로 한 3음보의 율격 구조를 가진 것으로 율독(律讀)이 가능하다. 그만큼 이 시에는 우리 고유의 민요시조 같은 전통적 시가 형식과의 상관성이 짙게 나타낸다. 그것은 곧 이 시의 근저에 동양적 형식미와 정신세계가 잠겨 있으리라는 판단을 내리게 한다.

이 시에서 중요한 해석의 열쇠 구실을 하는 것은 님의 눈썹과 새의 관계이다. 겨울 하늘의 투명하고 삽상한 공간에서, 시의 화자는 자신이 사랑하는 님의 눈썹을 천(千)날 밤의 꿈으로 씻어서 걸어 놓았다고 진술한다. 그랬더니 추운 겨울밤을 나는 새도 자신의 지극한 정성을 알아보았는지 그 눈썹의 모양과 비슷한 모습으로 피해가더라는 것이다. 이러한 진술은 정신과 정신의 마주침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님을 사랑하는 마음의 간절함은 추위도 무서워하지 않는 겨울새에게까지 감동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은, 불교의 이심전심(以心傳心)이라는 개념을 연상시킨다. 이 짧은 시 한편에도 시인의 불교적 사유가 은밀히 담겨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작가의 말(「내 연정의 시 '동천'과 윌리엄 포크너의 인연」, 『문학적 자서전』, 은행나무, 2016.)에 의하면 이 작품은 한 여대생 제자를 짝사랑하는 마음으로 창작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미당 서정주의 시에 대하여』(김화영, 민음사, 1984)
『미당서정주시전집』(서정주, 민음사, 1983)
「윌리엄 포크너의 흑인 초상화 '헨리'에 헌정된 서정주의 '동천」(윤재웅, 『근대서지』 16, 근대서지학회, 2017)
「탈마법의 수사학과 서정주 시의 한계」(박현수, 『한국근대문학연구』1권2호, 한국근대문학회, 2000)
주석
주1

아름다움을 최고의 가치로 여겨 이를 추구하는 문예 사조. 19세기 후반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 나타났으며, 페이터ㆍ보들레르ㆍ와일드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