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칠 ()

목차
공예
개념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교목인 황칠나무에서 채취되는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 수지도료(樹脂塗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교목인 황칠나무에서 채취되는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 수지도료(樹脂塗料).
내용

황칠나무는 아열대성 식물로 그 분포지는 제주도·완도·보길도·어청도·진도·홍도·거문도와 보령의 연열도 등 주로 남부지방 해안이나 섬지방에서만 자생하고 있다.

황칠은 정유성분(精油成分)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담황색의 진한 유상액체(油狀液體)로서 상쾌한 향기를 지니며 맛은 쓰다.

황칠 안에 들어 있는 정유는 주로 고불점(高弗點) 부분으로, 그 주성분은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이며, 그 밖에 알코올·에스테르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황칠 정유의 세스퀴테르펜은 D2, 0.9215 ; ∩2, 1,5052 ; α2, -0°87이라는 특정 수치를 지니며, 이중결합이 두 개가 있는 양(陽)이온과 비슷한 쌍환성(雙環性) 스퀴테르펜으로서, 이의 염화수소(鹽化水素) 화합물은 결정성(結晶性)을 만들지 않는다.

황칠을 칠할 때 사용하는 용제(熔劑)는 알코올·아세톤·에스테르·벤·신나(시너) 등 유기용매이며, 광택은 무광택으로서 내열성·내습성에 침투력이 뛰어나다.

색상은 황금색이나 목재에 칠하면 무늬[木理]가 선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투명도가 약한 도료로 한다. 황칠을 칠한 후 건조시킬 때는 17∼23℃의 온도가 적합하며, 금속에 칠할 때는 금속을 불에 달구어 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건조 시간은 약 4시간 정도로 한다. 황칠의 채취 시기는 1∼11월이나 장마철에는 피한다. 채취 방법은 V자형 특수 손칼로 황칠나무에 一자, V자, O자형으로 약간 깊이 골을 파 놓으면 그 골에 황칠이 고이게 된다. 채취 시간이 많이 걸리고 채취량이 적어 황칠을 얻는 데 어려움이 있다.

황칠에 대한 기록으로는, 중국 당(唐)의 ≪통전 通典≫에 “백제 서남지방 바다 가운데 세 섬에서 황칠이 나는데, 6월에 백류(白流)를 채취하여 기물에 칠하면 금빛과 같아서…”라 기록되어 있다.

송(宋)의 유서인 ≪책부원구 冊府元龜≫에는 “당 태종이 정관(貞觀) 19년(서기 645년, 백제 의자왕 9년)에 백제에 사신을 파견하여 금칠을 채취해서 산문갑(山文甲)에 칠하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 북송의 손목(孫穆)이 지은 ≪계림유사 鷄林類事≫에 ‘칠왈황칠(漆曰黃漆)’이라 대역함으로써 당시 고려에서는 칠이라 하면 으레 황칠을 대표로 하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한편 ≪계림지 鷄林志≫에는 “고려의 황칠은 섬에서 난다. 6월에 수액을 채취하는데 빛깔이 금과 같으며, 볕에 쪼여 건조시킨다. 본시 백제에서 나던 것인데, 지금 절강(浙江) 사람들은 이를 일컬어 신라칠(新羅漆)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1541년(중종 36)에 간행된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언해 牛馬羊渚染疫病治療方諺解≫에는, “제주에서는 나나니란 이름을 황칠이라 하고, 북나무진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곧 ≪계림유사≫의 황칠과 ≪계림지≫의 황칠을 동일 물질로 본 것으로 일반적인 옻칠과 다른 것임을 분명히 하였고, 황칠은 한반도 어디서나 채취되는 것이 아니고 오로지 섬지방, 특히 제주도의 특산품임을 명기하였다.

참고문헌

『고려나전칠기연구』(곽대웅, 미진사, 1984)
『한국의 목공예』(이종석, 열화당, 1988)
『한국칠기이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89)
『전통과학기술 조사연구』(국립중앙과학관, 199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