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갑상 ()

목차
관련 정보
회갑 상차림
회갑 상차림
식생활
개념
회갑을 축하하고 헌수를 드리기 위한 상차림.
목차
정의
회갑을 축하하고 헌수를 드리기 위한 상차림.
내용

회갑은 환갑(還甲)·주갑(周甲)·갑년(甲年)이라고도 한다. 나이 예순한 살을 가리키는 말이다. 따라서, 회갑날이란 회갑이 되는 해의 생일날이다. 환갑주(還甲主)는 장수를 누린 복많은 노인이라 하여 큰 축하를 받는다.

예전에는 여러 가지 여건으로 예순한 살까지 생존하기도 그리 쉬운 일은 아니었다. 또 혼인연령이 일렀던 관계로 이때에는 이미 빠르면 증손까지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자손의 수도 많았고 상당한 웃어른으로 대우를 받았다. 우리 가정에서는 어른의 생일날은 온 일가친척이 모여서 잔치를 베푸는 관습이 있다.

회갑날에는 자손들이 합심하여 크게 잔치를 베풀었다. 환갑주(환갑을 맞은 사람)에게는 비단옷으로 단장을 시켜드리고 자손들은 곱게 옷을 차려입고 일가친척이 모두 모인 가운데서 부부쌍쌍으로 환갑주에게 잔을 드린다.(獻酌 헌작). 큰절을 올리면서 환갑주의 장수를 감사 드리고 여생의 건강하심을 빈다(獻壽 헌수).

회갑상차림은 혼례·제례의 상차림과 같이 일상식과는 전혀 다른 구조와 형태의 큰상차림을 한다. 편·숙실과·생실과·유과 등을 높이 괴어서 색을 맞추어 놓는다. 높이 괴는 것을 고배(高排)라고 한다. 이렇게 고배음식으로 차린 큰상을 고배상 또는 망상(望床)이라고도 부른다. 고배음식을 괴는 것은 ‘굄새’라고 한다. 특별히 숙달된 솜씨를 필요로 하므로 숙련된 사람이 뽑혀 다녔다. 남자가 이 일을 맡는 경우도 많았다.

정성껏 차려놓은 고배음식은 헐어서 먹을 수가 없으므로 바라다보기만 하는 상이라 하여 망상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그 자리에서 먹을 수 있도록 큰상 앞에다 따로 입맷상을 차린다. 이들 상차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1) 큰상(또는 망상)

괴는 음식은 계절에 따라서 또는 가풍·형편에 따라서 다르겠으나 대체로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음식의 가짓수와 괴는 높이의 치수는 홀수로 하는 것이 관례였다.

① 유밀과 : 약과·만두과·다식과 등, ② 강정 : 깨강정·세반강정·계피강정·실백강정·매화강정 등, ③ 다식 : 송화다식·녹말다식·흑임자다식·밤다식 등, ④ 당속 : 옥춘당·팔보당·온당·원당 등, ⑤ 생실과 : 사과·배·귤·감 등, ⑥건과 : 대추·호두·은행·잣·곳감 등, ⑦ 정과 : 연근정과·생강정과·모과정과·동아정과·청매정과·맥문동정과·산사정과·밤초·대추초 등, ⑧ 편 : 백편·꿀편·싱검초편·화전·주악·단자 등, ⑨ 건어물 : 문어·어포·육포·전복 등, ⑩ 편육 : 양지머리편육·제육·족편 등, ⑪ 전유어 : 각종 전유어, ⑫ 적 : 봉적(닭적)·육적 등이다.

(2) 입맷상

입매란 음식을 조금 먹어서 시장기를 면한다는 뜻이다. 입맷상이란 잔치 때에 큰상을 드리기 전에 먼저 간단히 차려 드리는 음식상으로 회갑 때에는 큰상 앞에 차려 놓는다. 대체로 국수를 주로 한 면상으로 차린다. 자손들이 올린 잔을 받으면서 그 자리에서 먹을 수 있도록 한다. 환갑주의 배우자가 살아 있으면 큰상 앞에 각각 외상으로 차려 옆으로 나란히 놓는다. 음식은 잔을 받으면서 안주도 들고 식사도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것을 차린다.

① 면 : 온면·냉면 등이다. ② 김치. ③나물 : 숙채·생채 등이다. ④ 전유어 : 각종 전유어. ⑤ 편육 : 양지머리편육·제육·족편 등이다. ⑥찜 : 여러 가지 찜 중에서 한두 가지이다. ⑦ 편 : 여러 가지 편, 단자·경단류 중에서 한두 가지이다. ⑧ 숙과류 : 유과·정과·다식·약식·강정 중에서 한두 가지이다. ⑨ 생실과. ⑩ 음료 : 화채·식혜·수정과 등이다.

회갑상을 차리고 환갑주에게 잔을 드리는 의식이 끝나면 축하객에게도 차린 음식으로 음식을 대접한다. 이때에 가무를 성대히 울리며 권주가를 부른다. 큰상에 차린 음식은 나중에 헐어서 일가친척에게 나누어 준다., 환갑주는 그날에 받은 선물을 자손들에게 골고루 나누어주는 사랑을 베푼다.

참고문헌

『한국음식-역사와 조리-』(윤서석, 수학사, 198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순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