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안공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의 제20대 왕, 신종의 사위이자 제19대 명종의 손자로, 회안공에 봉해진 왕족.
이칭
이칭
정(侹)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34년(고종 2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의 제20대 왕, 신종의 사위이자 제19대 명종의 손자로, 회안공에 봉해진 왕족.
개설

이름은 왕정(王侹). 개성왕씨(開城王氏)로 아버지는 영인후 왕진(寧仁侯 王稹)이며, 어머니는 명종의 딸인 연희궁주(延禧宮主)이다. 신종의 딸 경녕궁주(敬寧宮主)와 혼인하고 회안공에 봉하여졌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31년(고종 18) 몽고가 구주를 공격하므로 박서(朴犀)가 포차(砲車)를 쏘아 많은 사람을 죽였다. 이 때 몽고의 장수 살리타[撒禮塔]가 지의심(池義深)·강우창(姜遇昌) 편에 회안공의 편지를 구주에 보내 항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굳게 지켜 항복하지 않자 1232년에 몽고군사가 돌아가므로, 김취려(金就礪)와 함께 몽고 군사를 위로하며 전송하였다. 최춘명(崔椿命)이 자주부사(慈州副使)로서 자주(慈州: 지금의 평안남도 順川)를 굳게 지키자 살리타의 요구로 후군진주(後軍陣主) 대집성(大集成)을 보내어 “국조(國朝)와 삼군(三軍)이 이미 항복하였으니 속히 나와 항복하라.” 하였으나 최춘명은 굳게 지키고 항복하지 않았다.

1324년(충숙왕 11)경 반룡사(盤龍寺)에서 향여(向如)가 주법(主法)으로 추천되자 회안공의 경애가 깊었던 것으로 보아 불교에도 관심이 컸던 것 같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후기수선사의 결사운동」(진성규, 『한국학보』36,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