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모리잡가 (휘모리)

목차
국악
개념
서울지역에서 해학적인 내용의 사설을 빠르게 부르는 잡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지역에서 해학적인 내용의 사설을 빠르게 부르는 잡가.
내용

우스꽝스러운 익살과 결말 투성이의 사설(辭說)을 빠른 속도로 촘촘히 휘몰아쳐 부르는 연주 형태에서 이 갈래의 명칭이 유래하였다. 그 사설은 대개 장형시조의 변형인데, 이를 자진타령장단에 얹어 촘촘히 엮어 부른다.

이러한 이유에서 사설시조의 한 갈래에 포함되기도 한다. 서울 풀무골(冶滑)의 소리꾼 이현익(李鉉翼)과 선소리 명창 김태운(金泰運)을 거쳐 이창배(李昌培)에 의하여 전승되었는데, 예전에는 주로 소리꾼들이 모인 자리에서 파장(破場) 노래로 즐겨 불렀다고 한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휘모리잡가에는 「곰보타령」·「생매잡아」·「만학천봉」·「육칠월흐린 날」·「한잔부어라」·「병정타령(兵丁打令)」·「순검타령(巡檢打令)」·「비단타령」·「맹꽁이타령」 등이며 음악적 특징이나 창법은 12잡가와 공통된다.

참고문헌

『국악총론』(장사훈, 정음사, 1976)
『국악논고』(장사훈,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