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탑사 괘불탱 ( ▽)

고흥 금탑사 괘불탱
고흥 금탑사 괘불탱
회화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봉림리 금탑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정의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봉림리 금탑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개설

200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금탑사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으며, 창건 당시 금탑(金塔)이 있어 금탑사라 했다 한다. 괘불탱은 야외에서 법회를 할때 걸어놓고 예배하는 의식용 불화이다. 이 금탑사 괘불탱은 1778년(정조 2) 조선 후기의 화승 비현(丕賢), 복찬(福贊), 쾌윤(快允) 등이 함께 조성했다.

구성 및 형식

이 불화는 세로 506㎝, 가로 638㎝의 크기로, 괘불로는 드물게 옆으로 긴 횡폭으로 석가불·약사불·미타불의 삼세불을 그린 간략한 구성이다. 각 협시보살이 시립한 삼세불은 화면을 횡으로 삼등분하여 중앙에 석가불을 조금 크게 그리고, 좌우에 약사불과 아미타불을 배치하였다. 석가불은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가섭과 아난존자가, 아미타불은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약사불은 일광보살과 월광보살, 천부중이 호위하고 있는 모습이다.

내용

이 괘불은 둥글고 넓은 얼굴 윤곽에 작은 이목구비와 건장한 신체, 붉은 바탕 위 사용되는 흰 선 등 18세기 후반의 화풍을 반영하고 있다. 홍색과 녹색이 주조색이며, 흰색이 많이 섞인 살색과 옥색 등 전반적으로 흰색이 혼합된 느낌이 든다. 특히 본존은 큼직한 정상계주, 각이 진 어깨, 발목의 치견 장식이 특징적이다.

의의와 평가

이 괘불을 조성한 비현과 쾌윤은 흥국사 괘불(1759년)과 만연사 괘불(1783년)을 조성한 화승이다. 당시 최고의 불화 실력을 갖추었던 이들의 작품을 통하여 18세기 후반의 불화, 특히 전라도 지역의 불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조 불화의 연구』(문명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마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