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중학교 ()

목차
관련 정보
단양중학교
단양중학교
단체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도전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도전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연원 및 변천

1945년 5월 1일에 단양공립공업전수학교로 인가를 받아 단양국민학교에서 광산과 1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45년 11월에 단양공립공업초급중학교로 승격되어 토목과로 개편되고, 구 일본인 국민학교 교사로 이전하였다. 1947년 3월 1일에 각 학년 광산과 1학급, 토목과 1학급으로 개편하여 단양읍 하방리 260번지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49년 5월 1일에 단양중학교로 학칙을 변경하여, 각 학년 남학생 2학급과 여학생 1학급 총 9학급으로 인가를 받았다. 1950년 5월에 4년제 단양공업중학교로 승격되고, 여학생 염직과 1학급을 증설하여 9학급으로 인가를 받았다.

1951년 8월 7일에 학제 변경으로 4학년 졸업생 37명으로 제3회 졸업식을, 3학년 졸업생 57명으로 제4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1951년 8월 31일에 교육법 일부 개정으로 단양중학교로 개편하였다. 1952년 5월 22일에 단양공업고등학교가 광산과 각 학년 1학급 총 3학급으로 단양중학교에 병설 인가되었다. 1955년 6월 15일에 단양중학교 영춘분교가 인가되고, 1964년 3월 6일에 영춘분교가 영춘중학교로 독립·인가되었다. 1969년 3월 15일에 단양여자중학교를 분리·이전하였다. 1974년 6월 12일에 단양공업고등학교를 단양군 단양읍 북하리 58번지로 신축·이전하였다.

1975년 7월 30일에 본관 교사 14실을 완공하였다. 1985년 3월 1일에 남녀공학으로, 남학생 8학급 여학생 7학급을 운영하였다. 1985년 5월 13일에 충주댐이 건설됨에 따라 하방리 일대가 수몰되어 신단양 도전리 222번지로 신축 교사를 이전하였다. 1994년 5월 13일에 936㎡(1층 441㎡, 2층 441㎡, 옥탑 54㎡)의 과학관을 완공하였다. 1996년 7월 16일에 1139.50㎡(지하 91.20㎡, 1층 871㎡, 2층 177.30㎡)의 체육관을 완공하였다. 2000년 10월 18일에 급식소 및 사격장을 건평 348.38㎡, 연건평 582.12㎡(급식소 348.38㎡, 사격장 233.74㎡)로 완공하였다. 2003년 7월 30일에 과학관을, 같은 해 10월 20일에 도서관을 리모델링하였다. 2004년 12월 14일에 학칙 변경으로 16학급을 인가받았다. 2005년 5월 1일에 60주년 기념행사와 함께 역사관을 개관하였다.

현황

교훈(校訓)으로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참되고 당당한 사람’이다. 교목(校木)은 주목이고, 교화(校花)는 철쭉이다.

2007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방과후 학교 연구학교’를 운영하였다. 2007년 12월 31일에 ‘충청북도교육청 평가 최우수학교’로 선정되었다. 2009년 3월 1일에 충청북도 내 최초로 ‘교과 교실제’를 운영하였다. 또한 2009년에 ‘교육과정 자율화(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로 선정되어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아름다운 학교 내부환경 조성’, ‘방과 후 Best School’, ‘그린마일리지 우수학교’, ‘과학교실 운영 우수학교’, ‘ICT 활용 학교교육 활성화 우수학교’로 선정되어 충청북도교육감상을 받았다.

2010년 3월 2일 현재 1∼3학년 공히 5학급과 1개의 특수학급으로 되어 있어 총 16학급이다. 재학생 수는 남학생이 271명이고 여학생이 239명으로 총 510명이며 교원은 총 59명이다. 2010년 2월 12일에 제63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졸업생 180명을 배출하였으며, 지금까지 누적된 졸업생은 총 13,862명에 이른다. 2005년 1월 1일에 단양중·공고총동문회에서『단양중학교 60년사』를 간행하였다.

참고문헌

『단양중학교 60년사』(단양중·공고총동문회, 2005)
단양중학교(http://www.danyang.ms.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