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에서는 아직 금관이 발굴된 바 없다. 다만 무령왕릉에서는 오라관(烏羅冠)에 부착하였던 금제관식(金製冠飾) 2쌍이 출토되었을 뿐이다. 한성기(漢城期)에는 고깔모양의 금동관이, 사비기(泗沘期)에는 은꽃장식〔銀花冠飾〕을 부착한 관이 제작되었다.
한성기 백제 금동관의 연원을 밝힐 수 있는 자료는 아직 출토되지 않았다. 다만 관의 후면에 부착된 꽃봉오리 모양 장식이 선비족 연나라 계통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마구의 하나인 마면(馬面)에서 확인되고, 백제 금동관의 전면이나 측면에 새 날개 모양의 장식이 부착된 사례가 있어 고구려 조우관(鳥羽冠)에서 연원을 찾아볼 가능성도 있다. 한성 및 웅진기(熊津期)에는 고깔모양의 관모를 갖춘 금동관이 제작되었으나 사비기에는 비단모자에 은으로 꽃모양의 장식을 만들어 꽂은 형식으로 변화하였다.
한성기의 금동관은 공주 수촌리 1호분과 4호분 출토품이 전형이다. 고깔모양의 기본구조에 문양판과 꽃봉오리모양의 장식을 덧붙인 것이다. 유물에 따라 다소 가감은 있지만 전면과 측면, 그리고 후면에 문양판을 덧붙였다. 이처럼 전후, 그리고 측면에 세움장식〔立飾〕을 부가하는 것은 고깔모양 관을 보다 화려하게 꾸미려는 의도에서 고안된 것으로 보인다.
웅진기의 관으로는 무령왕 부부의 금제관식과 나주 신촌리 9호분 을관 출토 금동관이 있다. 무령왕의 관식에는 인동초(忍冬草)와 화염문이 도안되었고 영락이 달려 있다. 무령왕비의 관식은 왕의 관식과 달리 관식 문양이 좌우 대칭을 이루고 영락이 달려 있지 않다. 이 2쌍의 관식이 바로 중국 사서에 기록된 금꽃장식의 실물자료라고 추정된다. 신촌리 9호분 을관 출토 금동관은 관테를 갖추고 있다. 초화형의 세움장식 3개를 못으로 고정하였다. 관모는 반타원형 금동판 2장을 접합한 다음 가장자리에 좁고 길쭉한 판으로 덮어씌우고 못으로 고정한 것이다. 금동관의 관테와 관모에는 수리한 흔적이 남아 있다.
사비기의 은제관식은 중국 사서에 기록된 은꽃장식으로 추정되며 나솔(奈率) 이상 고급관인의 상징물임이 분명하다. 도안을 기준으로 살펴본다면 곁가지와 꽃봉오리모양 장식이 3단에 5개인 것, 2단에 3개인 것, 1단에 1개인 것으로 구분된다. 이처럼 화형장식의 도안은 조금 복잡한 것과 간소한 것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도안 차이는 소유자의 신분 차이 내지는 관위(官位)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성기 금동관은 현재까지 공주·천안·서산·익산·고흥에서 6점이 출토되었다. 웅진기의 금제관식은 무령왕릉에서만 한정적으로 출토되었다. 사비기의 은꽃장식은 부여·논산·익산·나주·남원에서 모두 12점이 출토되었다.
백제의 금동관과 금속제 관식에는 백제적인 특색이 드러나 있으며 특히 세련된 도안을 갖추고 있다. 이 점에서 백제 문화의 독자성과 우수성을 엿볼 수 있다. 아울러 사서에 기록된 백제 관위제(官位制)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