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꾸미개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고대사
유물
삼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되는 금속제 허리띠 장식품.
이칭
이칭
대금구(帶金具), 금속제 허리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삼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되는 금속제 허리띠 장식품.
내용

한자어로는 대금구(帶金具)라 한다. 고대사회에서 허리띠는 소유자의 사회적 지위를 잘 보여주는 상징적 물품이다. 특히 관인들은 관복을 입으면서 관대(官帶)를 착용하였는데, 관대에 부착하였던 금속품이 바로 띠꾸미개이다.

재질로 보면 금, 금동, 은, 동제품이 있다. 금제품은 신라의 왕족 무덤에서 한정적으로 출토된다. 신라의 금, 은제 띠꾸미개 가운데 드리개〔腰佩〕가 달려 있는 예가 있다. 드리개의 끝에는 물고기, 용, 곱은옥〔曲玉〕, 향낭(香囊), 집게 등의 장식물이 매달려 있다. 과판(銙板: 띠꾸미개에서 버클에 해당하는 부분)에 , 봉황, 인동초(忍冬草) 등의 무늬가 표현된 예도 있다. 6세기 중엽 이후 삼국시대 각국에서는 화려한 장식을 갖춘 띠꾸미개가 사라진다.

특징

고구려의 띠꾸미개는 중국 진(晋)과 선비족 전연(前燕)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등장하였다. 곧 고구려적인 색채가 발현되었고 4∼5세기대 정치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신라로 전파되었다. 신라의 띠꾸미개는 특히 화려하며 출토 수량도 많다.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에서 출토된 띠꾸미개 가운데는 인동초를 간략화한 삼엽문(三葉文)이 베풀어져 있고, 다양한 도안을 갖춘 드리개가 매달려 있다. 백제의 한성기 및 웅진기에는 귀면(鬼面) 장식 띠꾸미개가 유행하였다. 무령왕릉 출토 띠꾸미개는 삼국시대 띠꾸미개 가운데 가장 빼어난 걸작이다. 특히 드리개에는 귀면, 두꺼비, 백호, 주작 등의 무늬가 베풀어져 있다. 이 가운데 두꺼비는 달을 상징하는 도상이고 백호와 주작은 사신(四神) 가운데 일부이다.

현황

금제 띠꾸미개는 황남대총 남분과 북분, 금관총, 서봉총, 천마총, 금령총 등 모두 6기의 고분에서 출토되었다. 현재 국립경주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에 분산 전시되어 있다. 금동, 은, 동제품은 출토 예가 많은 편이며 삼국시대 각 나라의 왕도와 지방의 주요 거점 소재 고분에서 출토되었다.

의의와 평가

띠꾸미개는 삼국시대 고구려 · 백제 · 신라가 고대국가로서 성장, 발전했음을 증명해주며 각 국가별 관위제(官位制)의 정비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동아시아 고대 금속제 장신구문화』(이한상, 고고, 2010)
「백제의 환대에 대하여」(山本孝文,『호서고고학』16, 2007)
「삼국시대 과대의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윤선희,『삼불 김원룡교수 정년기념논총 II』, 1987)
황남대총 북분 대금구(국립경주박물관,『특별전 신라황금』씨티파트너,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