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현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공빈령, 감찰어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공빈령|감찰어사
관련 사건
봉사7조 건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전기에, 공빈령, 감찰어사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가계와 출신지는 자세하지 않다. 정우현(鄭又玄)은 987년(성종 6) 8월 과거에 급제했으며, 평소 글솜씨가 민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공빈령(供賓令)으로 있었을 때 봉사7조(奉事七條)를 올려 시정(時政)에 관한 일곱 가지 일을 논하다가 성종의 뜻을 거스르게 되었다. 이때 성종은 재상들의 의견을 수렴해 정우현을 처벌하려 했다. 하지만 서희(徐熙)만은 누구나 간쟁(諫爭)할 수 있음을 주장하여 오히려 정우현의 논사가 적절했다고 옹호하였다. 이런 일로 인해 정우현은 이후 감찰어사(監察御史, 종6품)에 올라 관리들의 기강을 바로잡았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명분과 실리 서희 외교론』(이천시 서희선생선양사업추진위원회, 국학자료원, 2008)
「서희와 성종대 정치적 지배세력」(김당택, 『서희와 고려의 고구려 계승의식』, 고구려연구회, 1999)
「고려 성종대의 정치적 지배세력」(이기백, 『호남문화연구』6,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