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성을 손가락질하며 (을 손가락질하며)

현대문학
작품
김동환이 지은 시.
정의
김동환이 지은 시.
구성 및 형식

6연 20행의 자유시이다. 1924년 5월 『금성』에 이 작품을 처음 발표하면서 김동환은 시인으로 등단하게 된다. 이 작품은 말미에 “24. 3. 10. 어두만강반(於豆滿江畔)”이라는 설명을 달아, 발표 두 달 전에 두만강변에서 이 작품을 썼음을 밝히고 있다. 김동환은 이 작품을 약간 수정하여 「눈이 내리느니」로 제목을 고쳐 시집 『국경의 밤』에 실었다.

내용

이 작품은 눈 내리는 북국 풍경을 그리면서 우리 민족이 처한 비극적인 상황을 서정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1연에서는 눈 내리는 북국의 풍경을, 2연에서는 굵은 모래가 섞인 눈보라에 고통을 받는 “백의인(白衣人)”, 즉 우리 민족을 그리고 있다. 3연에서는 손님을 대하는 풍습을 통해 추위의 맹렬함을 강조하고, 4연에서는 추위를 견디는 북국 사람들의 강인한 정신을 보여준다. 5연에서는 밀수입 마차가 등장하는 이국적인 풍경을, 6연에서는 눈 속에서 국경으로 이사하는 유랑민의 비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는 우리 시단에 북방 정서를 처음 소개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작품에 나타난 ‘막북강(漠北江)’, ‘눈발퀴’, ‘백웅(白熊)’, ‘북랑성(北狼星)’, ‘밀수입마차’, ‘북새(北塞)’ 등의 시어들에 이런 정서가 잘 묻어 있다. 가혹하고 거친 자연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강인하고 대륙적인 기질의 인물 형상을 보여줌으로써 이 시는 당시 시단에 새로운 기풍을 불러일으켰다. 이 작품의 주제와 정서가 이 작품 하나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후 서사시 「국경의 밤」으로 확장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초기 김동환 시의 특징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을 만하다.

의의와 평가

대륙적이고 남성적인 북방정서를 소개하여 우리 시에 새로운 기풍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문학사적 의미를 지닌다. 또한 북방정서를 바탕으로 민족의 수난을 서정적으로 형상화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김동환』(오성호, 건국대학교출판부, 200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