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화 ()

조병화
조병화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버리고 싶은 유산』, 『하루만의 위안』 등을 저술한 시인.
이칭
이칭
편운(片雲)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1년
사망 연도
2003년
본관
한양
출생지
경기도 안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버리고 싶은 유산』, 『하루만의 위안』 등을 저술한 시인.
개설

경기도 안성 출생. 호는 편운(片雲).

생애와 활동사항

1929년 경기도 용인 송전공립보통학교 입학하였으나, 서울로 이사하면서 1931년 미동 공립보통학교 2학년에 편입했다. 1941년에 경성사범학교 보통과를 졸업, 1943년에 연습과를 졸업했다. 1945년 동경고등사범학교 3학년 재학 중 일본의 패전으로 귀국했다. 1945년 9월 경성사범학교 교유, 인천중학교 교사, 서울중학교 교사로 재직하다가, 1959년부터 경희대 교수, 1981년부터 인하대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퇴임했다.

1974년중화학술원(中華學術院)에서 명예철학박사, 1982년 중앙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 1999년 캐나다 빅토리아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9년 첫 시집 『버리고 싶은 유산(遺産)』 출간을 시작으로 53권의 창작시집이 있을 정도로 시창작 과정이 성실하게 지속되었고, 이 시집 가운데 25권은 외국어로 번역 출판된 바 있다. 해방 후 경성사범학교(현재 서울대학교)에서 물리교사를 하면서 영문학 강의를 하고 있는 김기림의 눈에 조병화의 시가 띄게 된다. 김기림의 주선으로 장만영 시인이 운영하는 출판사 산호장에서 방황의 시간동안 써내려간 시를 시집으로 묶었고 그 첫 시집이 『버리고 싶은 유산(遺産)』이었다. 평범한 봉급 생활자로 침전해가던 조병화가 시인 조병화로 탈바꿈한 출발이었다. 해방 이후 불모지 국가, 학교에서 정신적인 방황과 고독을 표출한 그의 시세계는 당시 똑같은 정서의 빈곤 안에 놓인 도시민들에게 위로와 정서적 충만감을 안겨주었다.

그림에도 관심이 많아 개인작품 전시회를 여러 차례 가진 바 있다.

한국시인협회 회장,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을 역임했으며, 세계시인대회 국제이사, 제4차 세계시인대회(서울, 1979) 대회장을 겸임했으며, 이 세계시인대회에서 추대된 계관시인(桂冠詩人)이다.

그리고 그가 수상한 여러 문학상의 상금과 그의 원고료는 창작활동을 돕는 기금이 되었다. 1991년부터 편운문학상(片雲文學賞)을 제정하여 이 상을 운영해 오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인간의 근원적 고독을 주제로 삼은 조병화의 시세계는 그 속에 깊이 자맥질해서 나그네로서의 삶의 의미를 구현해낸다. 원숙한 삶의 경지를 찾아가는 조병화 시의 목소리는 삶과 죽음을 모두 아우르는데 순수 허무라는 시인의 주장대로 고독한 삶의 전 과정을 함축한 시적 의미를 내포한다.

조병화 시가 많은 대중에게 존재의 의미를 확장시킨 것은 서정의 빈곤성, 비인간적인 현실에 대한 반성과 거리두기와 위안을 주었다는 사실에 있다. 도시화가 진행되는 광복 이후 도시 서울시민으로서의 혼란함, 소시민의 고뇌를 『하루만의 위안』(제2시집)에 담아내면서 시적 성취를 이뤄낸다. 언어의 기교를 부리지 않으면서 정감적인 느낌을 자연스럽게 담아내는 그의 시언어는 고독한 인생길의 방향을 모색하는 독자들에게 위로가 될 수 있었다.

상훈과 추모

아세아문학상(1957)

한국시인협회상(1974)

서울시문화상(1981)

대한민국예술원상(1985)

국민훈장 모란장(1986)

3.1문화상(1990)

대한민국문학대상(1992)

대한민국금관문화훈장(1996)

5·16민족상(1997)

참고문헌

『조병화 한국대표시인101인선집』 (『문학사상』30주년기념출판, 2002)
조병화 문학관(www.poetcho.com)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