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연수 ()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대지의 봄」, 「만주」, 「검은 사람」 등을 저술한 시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8년
사망 연도
1945년
본관
삼척 심씨
출생지
강원도 강릉
정의
일제강점기 「대지의 봄」, 「만주」, 「검은 사람」 등을 저술한 시인.
개설

강원도 강릉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1925년 심연수의 부모는 고향 강릉을 떠나 연해주로 갔으나 1931년 구소련에서 조선 사람을 중앙아시아로 집단 이주시키는 바람에 중국으로 이주해서 흑룡강성 밀산에 살다가 신안진을 거쳐 1935년부터 용정에 머물렀다. 용정에서도 정착하지 못하고 어렵게 가계는 이어졌다. 집안은 용남촌 은진중학교 주변에서 두부와 콩나물을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 다음해 용지촌 연변대학 내 농학원 자리로 이사하여 소작이나마 농사일을 시작했으나 지주가 일제 앞잡이여서 삶의 터전을 또 옮겨야만 했다. 1년 뒤 태평촌으로 옮겨 소작을 하다가 광복 후 토지분배를 받고 자신의 농토를 가지게 되었다. 물론 간도로 이주할 결심은 숙부 심우택이 간도에서 중학교,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독립운동을 하고 있어서 이곳 사정이 훤했으므로 가족이주가 가능했던 것이다.

1940년동흥중학교, 용정국민고등학교를 졸업할 무렵까지 쓴 시는 떠도는 가족사를 중심에 둔 작품이 주를 이룬다. 『심연수 원본대조 시전집』1부에 수록되어 있는데 「대지의 봄」, 「여창의 밤」, 「대지의 모색」, 「해란강」 등이 그러하다. 2부에서는 「추억의 해란강」, 「돌아가신 할아버지」, 「만주」 등에서 유사한 시적체험이 발견된다. 정착하지 못하고 떠도는 가정살이로 그는 22살에서야 중학교를 졸업할 수 있었다. 다른 형제들은 정규교육을 받지 못했다. 연해주에서 한인소학교에 입학해서 다니다가 중국 신안진에 있을 때 김수산 선생 집에 다니면서 공부한 것도 정착하지 못한 가정사에 배경이 있다.

어려운 가정살림에도 불구하고 1941년일본대학 창작과에 입학하여 1943년 졸업하였다. 부모와 가족의 배려덕분에 학교를 다닌 그는 유학시절 용정의 집으로 편지와 엽서를 보냈다. 집에서 보내준 돈을 받고 고마운 마음을 동생에게 엽서로 보낸 내용을 보면 “어떤 처지에서 온 것을 생각할 제 무위도식하는 것 같은 저를 위하여 이처럼 온 집안에서 애를 쓰며 힘을 쓰는 것 생각하니 그저 감사할 뿐이다.”라고 되어 있다.

이 시기 경제적으로 곤궁한 유학생으로 고학을 했으므로 신문배달과 다양한 일을 했던터라 이때의 어려움은 「야업」, 「검은 사람」, 「과오」 등에서 잘 나타난다. 1943년 그는 강제징집을 피해 지바현에 있다가 나진항을 거쳐 용정으로 귀환하여 흑룡강성에서 진성국민우급학교, 서성국민우급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이 소학교는 김수산 선생의 도움으로 김좌진이 설립했다고 한다.

1945년 왕청현 춘양진 역 앞 물탱크 부근에서 사람들과 다투다가 피살되었다. 그해 10월 그의 부친이 시신을 수습해서 용정 토기동 뒷산 가족묘지에 묻었다. 유복자 심상룡은 현재 평양에 거주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그는 한국문학사에서 공공연히 언급하는 1940년대 암흑기를 밝혀줄 새로운 작가로 조명되었다. 비극적인 생애에서 볼 수 있듯이 윤동주 시인과의 유사성은 연변, 한국에서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시대를 서정적인 언어로 위무하면서 적극적인 항일의지를 밝힌 것과 관련있다. 특히 이국땅에서 민족문학을 지켜낸 시인으로 평가하고 있다. 심연수 문학은 일제강점기 재만조선시인들의 문학활동을 대중적으로 조명해내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심연수의 삶과 문학」(황규수, 『한국문예비평연구』26,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8)
집필자
한경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