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유 ()

현대문학
작품
법정스님의 수필.
이칭
이칭
무욕, 평화, 자유
목차
정의
법정스님의 수필.
내용

이 작품은 1972년 『동아일보』에 실린 법정스님의 수필로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소유욕이 가져다주는 비극을 전하는 작품이다.

마하트마 간디가 1931년 9월 런던에서 열린 제2차 원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가던 도중에 마르세유 세관원에게 “나는 가난한 탁발승으로 가진 거라고는 물레와 밥그릇 염소젖 한 깡통, 허름한 담요 여섯 장, 수건 그리고 대단치 않은 평판 밖에 없다”고 한 내용을 K.크리팔라니가 엮은 『간디 어록』에서 읽은 이 글의 지은이 ‘나’는 너무도 부끄럽다고 반성한다. 누구나 이 세상에서 사라질 때는 빈손으로 돌아가기 마련인데, 우리들은 무엇인가에 얽매여 주객이 전도된 삶을 살아간다고 나는 말한다.

나는 지난해 여름까지 난초 두 분을 정성을 다해 길렀는데 실수로 이 난초를 뜰에 내놓는 바람에 죽어버린 것이다. 나는 햇볕을 원망할 정도로 안타까웠지만 너무 난초에게 집념한 게 아닌지 곧 반성한다. 나는 기르던 난초가 죽어버린 일로 무소유의 의미를 깨닫게 된 것이다. 나는 우리들의 소유 관념이 우리들의 눈을 멀게 한다고 충고한다. 크게 버리는 사람이 크게 얻을 것이라고 나는 말한다. 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 된다는 게 무소유의 진정한 의미라고 나는 강조한다.

의의와 평가

무욕해 보이기 그지없는 난 기르기조차 집착과 소유욕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보고, 무소유의 ‘날아갈 듯한 해방감’을 일깨워주는 작품이다. 특히 이 작품은 단순히 개인적 생각을 피력하는데 그치지 않고 인간의 역사가 모두 끊임없는 소유사(所有史)였으며, 소유욕을 버려야 진정한 평화와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사회 문제로까지 확장시키고 있음이 매우 뛰어나다.

참고문헌

『무소유』 (법정, 범우사, 1976년)
집필자
이희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