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족등 ()

조족등
조족등
의생활
물품
불빛이 발밑을 비추도록 만들어진 등.
이칭
이칭
박등, 도적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불빛이 발밑을 비추도록 만들어진 등.
개설

불빛이 발밑을 비춘다 하여 조족등이라고 하며, 그 형태가 둥근 박과 같아 박등이라고도 한다. 또 조선시대에 순라꾼들이 야경을 돌며 도적을 잡는데 사용하여 도적등이라는 별칭이 있다.

등의 하부에 둥근 화창(火窓)이 뚫려 있으며, 외면 상부에는 자루손잡이가 달려 있다. 내면의 상부 손잡이가 부착된 주변에는 움직일 때마다 앞뒤로 흔들리는 금속제의 초꽂이 틀을 그네 형태로 부착하였다. 이 초꽂이 틀의 밑면에는 회전축 역할을 하는 초꽂이가 있어, 걸을 때 마다 항상 수평을 유지하며 아래쪽 화창은 통해 불빛이 모아져 발밑을 비추도록 설계되었다.

구조 및 형태

등 부분은 철로 둥근 박과 같이 만든 것도 있으나, 보통 대나무 또는 철의 골격에 종이를 두껍게 바르고 자루와 몸체가 결합된 자루 주위에 작은 환기공을 8개 뚫어 공기가 통하도록 하였다. 손잡이 자루는 대[竹]나 나무로 만들며, 자루에 비상용 초를 넣도록 만든 것도 있다.

사용 방법 및 특징

밤길에 길을 비추기 위해 들기도 하지만, 궁중의 빈전(殯殿) 대들보에 달아 마루를 비추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사용계층은 궁궐 및 관청의 순라군들이 야간순찰을 돌 때 사용하며 반가(班家)의 하인들이 야간에 어른을 모시고 외출할 때에도 사용한다.

참고문헌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이조시대 등촉기구에 관한 고찰」(김삼대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96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