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물천장 (우물)

목차
관련 정보
안동 봉정사 대웅전 우물천장
안동 봉정사 대웅전 우물천장
주생활
개념
반자틀을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짜 만든 천장. 순각반자 · 우물반자 · 소란반자 · 평암.
이칭
이칭
순각반자, 우물반자, 소란반자, 평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반자틀을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짜 만든 천장. 순각반자 · 우물반자 · 소란반자 · 평암.
연원 및 변천

한국건축에서 우물천장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남아 있는 건물이 고려시대 이후이기 때문에 알 수 없다. 그러나 4∼5세기에 만들어진 인도의 아잔타 석굴에서 우물천장을 채색으로 그린 것이 있고, 고대 그리스 건축에서 대리석판으로 우물반자와 유사한 모습의 천장을 만든 것을 볼 때 그 기원은 매우 오래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고려시대 봉정사 극락전의 닫집에서 사례를 볼 수 있으며 중국에서는 『영조법식』에서 우물천장을 평암(平闇)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내용

살림집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고 궁궐이나 사찰 등에서 주로 사용했다. 또 조선시대 5포 이상의 다포형식 건물에서 많이 쓰였다. 『영건의궤』에서는 우물천장을 한자로 순각반자(純角斑子)라고 기록하였다. 우물천장은 우물마루처럼 장귀틀(長多欄)과 동귀틀(多欄)을 격자로 짜고 가운데 반자청판(斑子廳板)을 끼운 것이다. 반자청판은 귀틀 사방에 돌린 쫄대목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를 반자소란(斑子小欄)이라고 한다. 우물천장의 반자청판은 귀틀사이에서 소란위에 올려놓은 것이기 때문에 위로 밀면 열린다.

우물천장을 우물반자 또는 소란반자라고도 칭한다. 소란은 쫄대목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때로는 조각부재를 사용하여 장식하기도 한다. 우물천장은 연등천장과 함께 한국건축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였다. 단청을 하고 화려하게 마감하는 하기 때문에 사찰과 궁궐의 정전 등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지만, 드물게는 민가의 사랑채에서 사용한 사례도 있으며 합각지붕집에서 외기(外機)부분의 눈썹천장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민가에 사용될 경우에는 단청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문헌

『지혜로지은 집, 한국건축』(김도경, 현암사, 2011)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김왕직, 동녘, 2007)
『한국건축대계4-한국건축사전』(장기인, 보성각, 2005)
「한국건축 천장의장에 관한 연구」(나연희, 홍익대학교석사논문, 198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