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흘림기둥

목차
관련 정보
강릉 임영관 삼문 배흘림기둥
강릉 임영관 삼문 배흘림기둥
건축
개념
목조건축의 기둥을 중간정도가 직경이 크고 위 아래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줄여 만든 기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목조건축의 기둥을 중간정도가 직경이 크고 위 아래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줄여 만든 기둥.
내용

배흘림은 민흘림과 함께 흘림기둥의 한 종류이다. 기둥의 입면 형태에 따른 것으로 흘림이 없는 기둥은 상하 직경이 같다. 흘림없는 기둥은 살림집이나 부속채 등 작은 건물에 사용하고 규모가 크거나 궁궐 및 사찰과 같은 권위건축에서는 보통 흘림기둥을 사용한다. 기둥 상부직경보다 하부직경을 크게 하여 사선으로 체감을 한 기둥을 민흘림기둥이라고 한다. 민흘림은 단면이 방형인 기둥에서 많이 사용하며 고구려쌍영총 전실의 팔각기둥과 통일신라시대 경북 의성의 탑리 5층석탑 일층탑신에서 그 사례를 볼 수 있다.

배흘림은 중간정도가 가장 직경이 크고 위와 아래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줄여 만든 기둥으로 곡선의 체감을 갖는다. 배흘림은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신전에서도 나타나는 오랜 역사가 있는 건축기법으로 엔타시스(entasis)라고 하며, 다만 최대 직경의 위치에서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대략 지면에서 3분의 1지점이 가장 굵은 것이 보통이다. 시대에 따라서도 배흘림의 정도 차이가 있으며 건물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 보면 조선시대 보다는 고려시대 건물이 흘림이 강하며 특히 그 중에서도 강릉의 임영관 삼문이 가장 두드러진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건축도에서도 배흘림기둥이 묘사되어 있음을 볼 때 삼국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조선시대 말까지 이어진다. 현존하는 건물 중에서 고려시대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강릉객사문 등과 조선시대 대부분의 정전건물에서 나타나며 팔작지붕보다는 맞배집에서 흘림이 강하다. 통일신라시대 목조건물은 남아있지 않지만, 858년에 세워진 쌍봉사 철감선사부도에서 강한 배흘림기둥의 모습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지혜로지은 집, 한국건축』(김도경, 현암사, 2011)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김왕직, 동녘, 2007)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경기문화재단, 2007)
『한국건축대계4-한국건축사전』(장기인, 보성각, 200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