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 ()

목차
고대사
제도
통일신라 때 남자 연령등급 중의 하나.
이칭
이칭
차정(次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 때 남자 연령등급 중의 하나.
내용

「신라촌락문서(新羅村落文書)」에는 촌락의 인구를 남녀 공히 나이에 따라 6개의 연령별로 구분하는 계층으로 나누어, 남자는 정(丁)·조자(助子)·추자(追子)·소자(小子)·제공(除公)·노공(老公)의 순으로 그 수를 통계해놓았다. 인구를 연령등급으로 나누어 파악한 것은 특정 연령의 사람에게 세(稅)를 징수하기 위해서였다. 제공은 노공처럼 공(公)이라는 존칭형 접미사가 붙어 있어 일반적으로 정(丁)의 위, 노공의 아래 연령등급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제공의 제(除)는 면제(免除)를 뜻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여자 연령등급인 제모(除母)에 대응한다.

정 위의 연령등급으로 제(除)와 노(老)가 두 개 설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서진(西晉) 이래 5호16국시대에 정 위에 설정되었던 차정(次丁)과 노(老)의 연령등급제가 주목된다. 서진에서는 정의 아래와 위, 즉 13∼15세 및 61∼65세의 연령층을 차정이라는 등급으로 별도 설정하여 반역(半役)을 부과하였다. 「신라촌락문서」에도 정 아래에 조(助), 정 위에 제(除)의 연령등급이 설정되어 있어 그와 유사한 수취제가 실시되었을 개연성이 있다. 이 경우 노공은 세금이 모두 면제되었던 것에 비해 제공은 일부의 세만 면제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통일신라 때 제공의 연령층 범위는 60∼69세 정도였다고 생각되지만 현재까지의 자료로는 정확하게 단정하기 어렵다.

참고문헌

『신라촌락사회사연구』(이인철, 일지사, 1996)
「신라 통일기 왕실의 촌락지배」(윤선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신라균전성책의 분석을 통해본 촌락지배의 실태」(兼若逸之,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84)
「신라의 율령고」(전봉덕,『서울대학교논문집 인문사회』4, 1956)
『朝鮮古代の經濟と社會』(浜中昇, 法政大學出版局, 1986)
「新羅の村落」(旗田巍,『歷史學硏究』226·227, 1958·1959:『朝鮮中世社會史の硏究』, 法政大學出版部,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