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상여·회다지소리 ( ·다지소리)

국악
제도
경기도 양주군백석면 오산리에 전승돼온 장례요로서 1989년 경기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된 민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양주군백석면 오산리에 전승돼온 장례요로서 1989년 경기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된 민요.
개설

경기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는 경기도 지역의 상여소리와 회다지소리를 한데 아울러 지정한 것으로, 양주 · 화성 · 양평의 상여소리와 회다지소리가 각각 지정되었다.

내용

상여소리는 장례요의 하나로 상여를 메고 장지로 가면서 하는 소리이고, 회다지소리는 장지에서 하관 후 무덤을 다지면서 하는 소리를 말한다. ‘회다지’는 무덤을 다질 때 흙에 횟가루를 섞어 넣고 다지는 관행을 말한다.

양주 상여 · 회다지소리는 상여가 나가기 전 날 빈 상여를 메고 연습하는 소리인 대도둠소리와 상여를 메고 장지까지 가면서 하는 상여소리, 하관 후 봉분을 다지면서 하는 회다지소리로 구성된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상여소리」

(후렴) 어허 어헤 어너리 넘차 어헤

간다 간다 떠나간다 이승길을 하직하고

만당같은 집을 두고 문전옥답을 다 버리고

부모 처자 이별하고 저승으로 나는 가네

이제까지 울너머로 세상 얘기 하던 분이

자고 나니 허망하게 베옷 입고 꽃신 신고

명정 공포 앞세우고 황천길로 떠나가네

(후렴) 어허 에헤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 진다고 설워 마라

춘삼월 봄이 오면 잎도 피고 꽃도 피고

너는 다시 피련마는 초로같은 우리 인생

아차 한 번 죽어지면 움이 날까 싹이 날까

「회다지소리」

(후렴) 에 에헤이 오호라 달고

엊그제도 성튼 몸이 오늘 회대 소리가 웬 말이요

왜 돌아갔소 왜 돌아갔소 한백년을 사시지 않고 왜 돌아갔소

불쌍하고도 가련구나 돌아가신 우리 님이 불쌍하고도 가련쿠나

(후렴) 에헤여라 달고

달고 하시는 여러분들

한 발 두 발 달고대를

눈 위로 번쩍 들어

쳐든 팔은 길게나 뻗어

남의 발등 밟지는 말고

등도 대고 배도 대며

콰광쾅 밟아를 보세

여보시오 회원님네

이내 말씀 들어를 보소

(이하 생략)

(후렴) 에헤 에헤 에헤야 에헤에헤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리 좋소

좋다 좋구 서산낙조 떨어지는 해는 내일 다시 돋건마는

황천길이 얼마나 멀어 한번가시며는 에루화 영절인가

좋다 좋구나 먹고 가며 쓰고 가야지 못다 먹고 못다 쓰고

두 손 거두어 배위에 얹고 시름없이 가는 인생 에루화 한심하구나

(후렴) 닐릴리 상사디야

상사하시는 여러분들

한 마디는 높이 받고

또 한 마디는 얕이 받아

상사소리를 하여를 보세

상사 났네 상사 났네

무슨 상사가 났느냐

스므살 먹은 노처녀가

시집을 못가서 상사로구나

(후렴) 어러러리 어러러로다

어러러 소리를 / 잘도 하여를 보세

옛날 옛적 진시황은 / 만리장성을 쌓아놓고

장생불사를 하려다가 / 그도 또한 아니 되어

여산공록 깊은 속에 / 속절없이 누워 있고

(후렴) 우야 훨훨

아랫녁새 웃녁새야 / 전지고불 녹두새야

높이도 떳구나 종달새야 / 얕이도 떳구나 굴뚝새야

말 잘 하는 앵무새며 / 춤 잘 추는 학두루미

꽁지가 좋구나 공작새야 / 슬피 우는 두견새야

기러기 훨훨 하늘을 날고 / 제비는 물을 차고

참새는 다 날아갔구나

변천과 현황

양주 상여 · 회다지소리보존회(회장 우원기)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양주 회다지소리는 긴달고소리, 자진달고소리 외에 꽃방아타령, 상사소리, 어러러소리, 새날리기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돼 있어 경기도 북부지역의 음악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참고문헌

양주 상여와 회다지소리 블로그(blog.daum.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