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제 화엄경변상도 경상 ( )

동제 화엄경변상도 경상
동제 화엄경변상도 경상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시대 청동제 경상(經床).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동제 화엄경변상도 경상(銅製 華嚴經變相圖 經床)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부산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12년 10월 30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청동제 경상(經床).
개설

청동을 주조하고 접합해서 만든 4각 책상으로, 천판 윗면에는『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변상도를 새겨 넣었다. 2012년 10월 30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및 특징

경상은 경전이나 책을 볼 때 사용했던 가구의 한 종류이며, 일반적으로 나무로 제작된다. 동제 경상은 청동으로 만들고 변상도를 새겨 넣어, 재료와 장식이 특이한 예에 속한다. 전체 외형은 호족반(虎足盤)과 유사하다. 천판, 운각, 동물 모양 다리, 양쪽 다리를 연결하는 족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선 후기의 유물로 추정되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고 안정감 있는 형태와 아름다운 장식을 갖추었다.

경상에 새긴 판화는 해인사에 전하는 80권본『화엄경』변상도의 11권「비로자나품(毘盧遮那品)」과 비교할 수 있다. 이는 비로자나불의 과거 수행 공덕과 인연을 설한 품으로, 대위광태자(大威光太子)가 네 분의 부처를 만나 법을 구하는 과정과 그가 곧 비로자나불의 전신(前身)임을 밝히는 내용이다.

경상에 판각된 그림은 해인사 소장품의 구도와 표현 방식을 따르고 있지만 구별되는 점도 보인다. 경상에는 법을 구하는 과정에서 부처가 세 분만 등장하며, 태자는 작게 표현되었고 권속 대부분은 생략되었다. 변상도가 책상의 장식으로 옮겨지면서, 세부 도상이 선택되었고 새로운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동제 경상은 재질과 장식이 특별하며, 유사한 예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기술적 완성도를 이루었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조선 후기 불교 미술과 금속 공예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부산의 문화재』(부산광역시 문화재예술과, 2013)
『법, 소리없는 가르침』(불교중앙박물관, 2008)
부산광역시청(www.busan.go.kr)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