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용주사 지장전 목조 지장보살 좌상과 시왕상 일괄 ( )

화성 용주사 지장전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 / 목조지장삼존상
화성 용주사 지장전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 / 목조지장삼존상
조각
유적
문화재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에 있는 조선시대 목조 불교조각상.
정의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에 있는 조선시대 목조 불교조각상.
개설

이 목조각상 일괄은 원래 용주사(龍珠寺) 말사인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중리 만의사(萬儀寺) 지장전에 봉안되어 있었던 것이지만, 1894년(고종 31) 지장전이 무너져 내리자 용주사로 옮겨온 것이다. 만의사는 원래 동탄면 신리에 있었으나, 이 터가 1669년(현종 10)에 송시열(宋時烈)의 장지로 정해지자 현재의 자리로 옮겨오면서 이름도 만의사(萬義寺)에서 만의사(萬儀寺)로 바꾸었다. 2009년 5월 21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역사적 변천

용주사 지장전에 봉안된 이 조각상들의 조성 시기는 두 시기로 추정해볼 수 있다. 하나는 원 봉안처인 만의사를 현재의 위치로 이건한 1669년(현종 10) 때이고, 다른 하나는 1791년(정조 15) 때이다. 현재 만의사 대웅전에 걸려있는 지장시왕도가 원래 지장보살상 등과 함께 지장전에 걸려있었다가 용주사로 옮길 때 이 불화는 옮겨지지 않았는데, 이 조각상들이 함께 조성된 것이라면 지장시왕도가 그려진 1791년(정조 15) 무렵일 것이다.

내용

조각상의 중심을 이루는 지장보살상은 높이 101.8㎝로 장엄을 하지 않은 승려형에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의 수인을 결하고 오른손에 석장을 들었다. 상체를 다소 움츠려 굽어보는 듯한 자세, 동글동글한 신체표현, 간략하지만 굵직한 옷자락 등은 크지 않은 상이지만, 멀리서도 분명히 형체를 인식할 수 있는 조선 후기 조각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시왕상은 좌상임에도 높이 170㎝ 내외에 이르는 대형이며 제1부터 제10까지의 왕을 좌우 번갈아가며 안치했는데, 초강·오관·도시대왕처럼 원류관에 홀을 쥔 자세를 기본으로 하여 관모, 자세, 지물 등에서 변화를 주어 시왕의 개성을 드러냈다. 이 외에 귀왕과 판관, 금강역사, 사자, 동자상 등도 모두 격식에 맞춰 날씬하고 장쾌한 비례로 만들어졌으며, 이들 중 다양한 지물을 든 목동자상 10구는 용주사 효행박물관 전시실과 수장고에 나뉘어 소장되어 있다. 전반적인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17세기 이전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엄격한 위엄을 지니면서도 다양한 변화를 주어 생동감 있는 명부 세계를 표현한 조선 후기의 작품으로서, 이 시기 지장전에 봉안되었던 일괄 조각상의 면모를 동자상을 포함하여 손실 없이 전체로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 인천광역시·경기도(2)』(재)불교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13)
『용주사본말사지』(용주사본말주지회, 진영출판사, 1984)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주수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