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암 목조 석가여래 좌상 및 복장유물 ( )

조각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장암에 있는 조선후기 수화승 희장 등이 제작한 목조 불상및복장유물.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장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地藏庵 木造釋迦如來坐像 및 服藏遺物)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재(2012년 03월 22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626-3 지장암 대웅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장암에 있는 조선후기 수화승 희장 등이 제작한 목조 불상및복장유물.
개설

이 불상은 수화승 희장(熙藏, 1639∼1661), 성명(性明), 보해(宝海) 등 7명에 의해 1653년(효종 4)에 제작되었다. 2012년 3월 22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지장암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원래는 전라남도 흥양현(현재 고흥군) 조계산 불대사(佛臺寺)의 삼세불 중 본존 석가모니 불상으로 조성되었던 것이다. 이 불상은 비례적으로 상체가 긴 편인데, 함께 삼세불로 조성되었던 협시불로 추정되는 현 능가사(楞伽寺) 대웅전의 약사 · 아미타불상과 비교했을 때 크기도 더 크고, 상체가 더 강조된 것은 이 불상의 주존불로서의 성격을 강조한 것으로 생각된다. 수인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인데, 엄지와 중지를 맞댄 왼손은 배 앞에 두지 않고 왼쪽 무릎 위에 올려 둔 것은 조선 후기의 특징이다. 옷 주름은 간략하면서 가는 선으로 유려하게 표현하였고, 결가부좌하여 교차한 다리 사이로 펼쳐진 부채꼴 모양의 옷 주름만 크고 굵게 표현하였다. 왼손은 별도로 만들어 붙였다. 머리에는 중간 계주와 정상 계주를 표현했다.

불상 아랫면은 1986년도의 개금기로 봉해져 있었는데, 그 안에서 조성기 및 다라니로 가득 싸인 복장물이 발견되었다. 복장물 중심부에는 후령통과 오색 실로 묶은 5방 뭉치를 푸른 명주 보자기로 싸고 이를 다시 주황색 명주 보자기로 감쌌다. 후령통 안에는 원 · 삼각 · 별 · 육각 형태로 오린 동판이 들어가 있었다. 아울러 『묘법연화경』2권도 봉안되었다.

특징

희장은 넓게는 현진(玄眞) 유파에 속하면서 승일(勝一)과는 구례 천은사(泉隱寺) 수도암 목조 아미타불과 대세지보살상 등을 제작하기도 하여 사제지간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희장의 다른 작품으로는 구미 수다사(水多寺) 목조 아미타삼존불좌상(1649년), 진안 금당사(金塘寺) 목조 아미타삼존불상(1650년), 구룡산 반룡사(盤龍寺) 목조 보살 좌상(1654년), 부산 범어사(梵魚寺) 대웅전 목조 삼존불좌상(1661년)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활발히 활동한 조각승 현진의 능가사 삼세불을 복원적으로 고찰할 수 있으며, 더불어 조선 후기 불상의 의미 변화 과정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불교조각사』(송은석, 사회평론, 2012)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최선일, 경인문화사, 2011)
『지장암: 지장암의 역사와 문화』(문명대 외, 한국미술사연구소·지장암, 2009)
국가유산청(www.khs.go.kr)
집필자
주수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