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찬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인물
조선후기 송광사 화엄전 신중도, 화암사 명부전 지장보살도, 천은사 극락보전 신중도 등을 그린 승려. 화승.
이칭
이칭
해운당(海雲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송광사 화엄전 신중도, 화암사 명부전 지장보살도, 천은사 극락보전 신중도 등을 그린 승려. 화승.
활동사항

1824년 송광사 화엄전 신중도부터 1862년 화엄사 명부전 시왕도까지 40여 년 동안 그린 24점의 작품이 남아 있다. 전라도 화승 천여(天如)와 내원(乃圓) 밑에서 공부하였고 1847년 대흥사 범천도·제석천도의 제작부터 수화승으로 활동하였다. 익찬의 화맥은 도순(道詢), 덕린(德璘), 준언(俊彦)에게 이어졌다.

송광사[화엄전 신중도(1824), 자정암 석가모니불도(1835), 신중도(소실, 1850)], 화암사[명부전 지장보살도(1830)], 천은사[극락보전 신중도(1833), 삼일암 아미타불도(1853)], 태안사[영산전 신중도·명적암 후불도·성기암 신중도(소실, 1835), 봉서암 현왕도(소실, 1854)], 선운사[선운사 대웅보전 삼세불벽화(1840)], 대흥사[대광명전 지장보살도(1824), 대광명전 법신중위회삼십칠존도·칠성도(1845), 대양문 범천도·제석천도(1847), 칠성도(1850), 대광명전 지장시왕도·현왕도(1854)], 선암사[대웅전 삼장보살도·지장전 지장보살도(1849), 대승난야 칠성도(1854)], 화엄사[나한전 석가모니불도(1854), 각황전 삼세불도(1860), 명부전 시왕도(1862)] 등 전라도 사찰을 중심으로 불화 제작이 이루어졌고 쌍계사[명부전 지장보살도(1860)], 선석사[대웅전 석가모니불도(1856)] 등의 경상도 지역 사찰의 불화도 그렸다. 특히 신중도와 지장보살도가 많다.

익찬은 전라도 불화 전통을 이으면서도 구성에서 변화를 주었다.화엄사 시왕도에서는 다섯 왕을 한 화폭에 담거나 대흥사 신중도처럼 범천과 제석천을 두 화폭에 나눠 그리고 선암사와 대흥사의 각 칠성도에서 원을 이용한 점 등이 그러하다. 채색은 흰색 안료를 많이 사용하였고 수묵을 쓴 점이 특징이다.

익찬은 붉은 바탕에 금니, 황색, 백색 안료로 홍탱을 많이 그렸다.불보살의 신체를 채색하는 방식은 전라도 홍탱의 특징이다. 익찬은 의겸이 세운 전라도 불화 전통의 마지막 세대이다.

참고문헌

『한국역대서화가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한국의 불화 화기집』(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회화(안귀숙·최선일, 양사재, 2008)
집필자
탁현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