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칙어 ()

학교교육
제도
1890년 일본의 천황제 국가체제에 입각한 군국주의 교육 방침을 공표한 칙어.
제도/법령·제도
공포 시기
1890년 10월 31일
폐지 시기
1948년 6월
시행처
일본 문부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교육칙어는 1890년 10월 31일에 제정, 공포된 일본 천황제 이데올로기에 입각한 군국주의 교육 방침이다. 1948년 6월 그 실효가 배제되기까지 약 55년간 일본의 교육을 주도하였다. 국민교육의 정신적 규범으로 등장한 교육칙어는 일본은 물론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의 교육 방향을 천황제 국가체제와 군국주의 교육으로 물들였다.

정의
1890년 일본의 천황제 국가체제에 입각한 군국주의 교육 방침을 공표한 칙어.
제정 목적

1890년 10월 31일에 공포된 일본의 천황제에 기반한 교육 지침이다. 외양적으로는 근대화에 필요한 인력 양성에 중점을 두면서도 내면적으로는 봉건적인 권위체제를 옹호하고 천황에 대한 절대적인 헌신을 강요하였다.

「교육칙어」의 “짐(朕)이 생각건대 우리 황조황종(皇祖皇宗)은 나라를 세움이 유구했고 덕을 베풂이 깊고 두터웠다. 우리 신민(臣民)이 충을 극진히 하고 효를 극진히 하여 억조(億兆)가 마음을 하나로 하여 세세토록 그 아름다움을 다하는 것은 바로 우리 국체(國體)의 정화(精華)로서 교육의 연원 또한 실로 여기에 있다”는 말로 시작하여 “일단 유사시에는 의용(義勇)을 공히 받들어 천양무궁(天壤無窮)의 황운(皇運)을 부익(扶翼)해야 한다”는 다짐을 강조한 데서 천황에 충성하고 군국주의에 동조하는 충량한 신민 육성에 목적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교육칙어 체제의 전개 과정에서 일본의 교육은 학문이나 교육의 자유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천황 중심의 가치체계에 근거한 교화를 그 본질로 하게 되었다. 또 효보다 충에 중점을 두는 유교적 덕목이 교육 내용의 근간을 이루었다. 교육칙어에 대한 강한 믿음을 지닌 자들은 개인주의와 자유주의 풍조가 메이지시대 이래, 국민 특히 지식계급의 사상, 학문에 침투하는 것을 비판하는 데 주력하였다. 이같이 당시의 사상과 학문은 교육칙어 체제에 짓눌려 인류 보편의 가치에 눈을 돌릴 수가 없었다.

「교육칙어」는 일본 근대교육의 지도이념이었을 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 한국교육을 규정짓는 지침이었다. 1911년의 「 조선교육령」 제2조에서 “교육은 교육칙어에 입각하여 충량한 국민을 육성하는 것을 본의로 한다”고 하였고, 제3조에서 “교육은 시세와 민도에 적합하게 함을 기한다”고 한 데서 알 수 있듯이 교육칙어에서 차별교육의 방법으로 한국민족을 말살하여 일본화하겠다는 속셈을 그대로 법제화한 의도를 알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교육칙어」는 학교, 교사, 학생을, 그리고 일본인을 천황제라는 주술(呪術)에 묶어두는 강력한 힘을 발휘하였다. 1948년 6월 일본 국회의 양원에서 그 실효가 배제되기까지 약 55년간 일본 공교육의 이념과 실제를 지배하였다. 전후에도 전전, 전중의 교육을 규율했던 교육칙어를 향수어린 심정으로 회상하는 자들, 특히 일본의 보수 우익세력은 1947년에 「교육기본법」이 「평화헌법」과 함께 채택된 것에 대해서도 강한 정서적 거부감과 불쾌감을 드러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태웅, 『신식 소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삶』(서해문집, 2017)
윤건차 저, 『다시 읽는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이명실, 심성보 옮김, 살림터, 2016)
佐藤秀夫, 『學校ことはじめ事典』(小學堂, 1987)

논문

박균섭, 「한국에서 본 전후 일본교육의 궤적: 교육칙어와 교육기본법의 연속과 불연속」(『일본근대학연구』 50,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박균섭, 「교육칙어체제의 지속과 한국교육의 실패」(『일본학보』 51, 한국일본학회, 2002)
「教育ニ関スル勅語謄本頒布ニ付文部大臣訓示」-文部省訓令 第八号(『学事法規提要』, 文港堂, 19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