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창수집 ()

조선시대사
문헌
1720년 일본에서 조선통신사와 일본 문사들 간의 필담을 모아 편찬한 외교서. 필담창화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720년 일본에서 조선통신사와 일본 문사들 간의 필담을 모아 편찬한 외교서. 필담창화집.
개설

『상한창수집(桑韓唱酬集)』은 1719년 8대 장군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축하하는 조선통신사가 우시마도[牛窓]와 효고[兵庫]를 지날 때 마쓰이 가라쿠[松井河樂] 등 일본 문사들이 찾아와 주고받은 시문을 1720년(숙종 46) 오사카에서 간행한 필담창화집이다.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은 등구태병위(嶝口太兵衛)가 판각하였으며, 가와마 마사타네[河間正胤]가 교정하여 1720년(숙종 46) 9월 오사카의 하내옥우병위(何內屋宇兵衛)에서 간행하였다. 서문을 가와마의 장손이 지은 것으로 보아, 이 책은 가와마 마사타네가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지적 사항

3권 3책으로 된 목판본으로, 천(天)·지(地)·인(人) 세 권으로 나뉜다. 사주단변이며, 반곽의 크기는 세로 17.2㎝, 가로 12.6㎝이며, 글자 수는 9행 20자이다. 주는 쌍행으로 되었으며, 어미가 없는 무어미이다. 책의 크기는 세로 26.0㎝이고, 가로 17.9㎝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이 책의 제1권에는 일본 문사 마쓰이 가라쿠[松井河樂], 야마다 고사이[山田剛齋], 와다 쇼사이[和田省齋], 마쓰우라 가쇼[松浦霞沼] 등이 조선의 제술관 신유한(申維翰), 서기 강백(姜栢)·성몽량(成夢良)·장응두(張應斗) 및 의원 백흥전(白興銓) 등과 우시마도에서 주고받은 필담과 시가 수록되어 있다.

제2권에는 조선의 제술관 및 세 명의 서기와 가와즈미 마사미[河澄正實], 다나카 모쿠요[田中默容], 이나오[衣尙] 등과 효고에서 주고받은 필담과 시를 수록하였다. 제3권에는 역시 조선의 통신사와 핫타 세키겐[八田碩軒], 나카 다이혼[中大本], 쓰키야마 란케이[築山蘭溪] 등이 오사카에서 주고받은 필담과 시가 수록되어 있다.

일본문사 마쓰이 가라쿠는 에도시대 유학자로 이름은 양직(良直), 호는 가락(可樂)이다. 하리마[播磨] 야마사키[山崎]번과 비젠[備前] 오카야마[岡山]번의 번주를 섬겼으며 번교(藩校)의 학감(學監)이었다. 야마다 고사이는 비양국(備陽國) 제후의 소사(小史)로 지역의 기록과 계보를 맡아보았으며, 마쓰우라 가쇼는 13세에 쓰시마후츄[對馬島府中]번의 가신이 될 정도로 시문에 뛰어난 인물로 목문십철(木門十哲)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이 책에 수록된 시문과 필담의 내용은 대부분 서로의 안부를 묻거나 창화(唱和)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책의 서문에 대한 부탁, 최치원(崔致遠)과 김지장(金地藏)에 대한 문답, 번역법에 대한 문답, 아이의 다리 부종 치료에 대한 문답 등도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1719년(숙종 45) 통신사의 오사카에서의 교유를 매우 상세히 기록하여 신유한의 『해유록』이해를 심화시켜 줄 뿐 아니라, 당시 한일 교류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참고문헌

『상한창수집(桑韓唱酬集)』
『상한창수집』(진영미 역주, 보고사, 2014)
국립중앙도서관(www.nl.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