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보제 ()

민속·인류
의례·행사
음력 11월 마보단(馬步壇)에서 말에게 재앙을 일으키는 신께 제사를드리던 국가의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음력 11월 마보단(馬步壇)에서 말에게 재앙을 일으키는 신께 제사를드리던 국가의례.
개설

고려시대부터 소사로 편입되어 조선시대까지 거행되어온 의식으로서, 말과 관련한 돌림병이나 불의의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려는 제사이다.

연원 및 변천

『고려사(高麗史)』에는 국가제사의 하나인 소사로서 마보제를 거행했음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마보제는 선목(先牧)과 마사(馬社), 그리고 마조(馬祖)와 함께 치제되는데, 선목이 음력 5월, 마사가 음력 8월, 마보의 경우는 음력 11월에 길일을 택해서 제향일로 삼았다고 한다.

『태종실록』에는 국가 사전체계를 정비하면서, 마보제를 국성(國城) 밖의 서북쪽에 있는 마보단(馬步壇)에서 십간 중 강일(剛日: 갑·병·무·경·임)에 거행했음을 밝히고 있다. 양란 이후, 마보는 한동안 치제되지 못하다가 정조 때 편찬된 『춘관통고(春官通考)』에는 소사로 편입되어 치제 대상이 된다.

1896년 고종은 국가제례를 정비하면서 소사에서 마조의(馬祖儀)를 행하는데, 공식적인 기록으로는 이때부터 마보제가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행사내용

마보제의 내용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서 제향(祭享)의 목적으로 치제했던 선목이나 제사(祭祀)의 목적으로 치제했던 마사나 마제(禡祭)·포제(酺祭) 등과 그 순서가 동일하다.

마보제를 행례절차와 송신절차로 구분해보면, 행례절차로는 헌관취위(獻官就位), 존폐례(尊幣禮), 초헌례(初獻禮), 아헌례(亞獻禮), 종헌례(終獻禮), 음복례(飮福禮), 철변두(徹籩豆), 망료(望燎), 망예(望瘞) 등이고, 송신절차로는 예필(禮畢), 납신(納神) 등 유교식 제례로 행해진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춘관통고(春官通考)』
『조선의 국가제사』(한형주 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한형주, 일조각, 2002)
한국사데이터베이스(db.history.go.kr)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www.grandculture.net)
집필자
목진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